인어가 잠든 집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김난주 옮김 / 재인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히가시노 게이고의 추리소설의 중심에는 늘 '인간'이 있었다. 단순히 범죄와 범인, 그리고 피해자와 가해자로 이루어진 이야기가 아닌 왜 그런 범죄가 일어나게 되었는지의 본질을 탐구하는 정신이 있었다. 그러다가 지난번 읽은 <살인의 문>에서도 그렇고 이번 <인어가 잠든 집>에서도 더 이상 추리가 아닌 작품들을 내놓기 시작했다. 선과 악이나 흑과 백이라는 이분법적 논리로 단칼에 자를 수 없는 그런 사회적 이슈들을 본격적으로 대놓고 이야기하기 시작한 것이다.

 

    수영장 사고로 의식을 잃은 한 아이가 있다. 스스로 호흡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몸의 모든 기능은 정상이라 뇌사 판정만 받는다면 장기기증을 할 수 있다. 부모의 갈등이 시작된다. 장기기증으로 아직 회생 가능성이 있는 여러 생명을 살림으로써 딸의 죽음에 의미를 부여할 것인가. 그런데 아직 우리 딸은 심장이 뛰고 있다. 피가 돌아 몸이 따뜻하고 눈만 감고 있을 뿐 살아있는 아이다. 그런데 그런 아이의 장기를 적출하다니. 의사는 생명연장장치에 의해 유지되고 있을 뿐, 그러한 장치 없이는 바로 며칠 이내에 심정지가 온다고 하고 뇌사 판정 검사는 하지 않았지만 뇌사의 가능성이 많다고 말한다. 부모가 힘겹게 결심하고 장기기증을 하려고 마지막으로 딸의 병실에서 딸의 손을 잡는 순간 딸의 손이 움찔한다. 부모는 장기기증 결정을 철회한다.

 

    아이를 어떻게 보낼 것인지에 대한 딜레마가 의사의 설명에서 잘 드러난다. 일본에서는 장기기증 의사를 밝히지 않는 경우에는 뇌사 판정 검사 자체를 하지 않는다는 것인데, 그래서 심정지가 올때까지 환자는 살아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뇌사라고 확인되는 단계에서 치료를 모두 중단합니다. 설사 심장이 움직인대도 말이죠. 그리고 장기 기증 의사를 밝힐 경우에만 연명 조치를 합니다. 장기기증을 승낙하지 않은 경우에는 심장이 정지되어야 사망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극단적으로 표현하면 두가지 죽음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는 말이죠. 제가 처음에 권리라는 말을 사용했는데, 그 말은 따님을 어떤 형태로 보낼 지, 그러니까 심장사와 뇌사 중 선택할 권리가 있다는 의미입니다.(p58)

 

   부모는 딸을 집으로 데려와 간병한다. 책에서 언급된 최신 과학 기술 덕분에 인공호흡기 대신 몸 속에 칩을 심어 횡경막을 전기로 자극하여 호흡할 수 있게끔 하고 심지어 기계를 이용하여 근육을 움직여 팔, 다리를 들어올리는 것도 가능하다(책 속의 설정이다). 엄마인 가오루코는 이러한 치료가 자연의 섭리를 거스르는 비정상적인 것이라는 주변의 비난에도 아랑곳없이 딸의 심장이 뛰고 있는 한 자신은 포기하지 않을 거라고 생각한다. 반면 다른 사람들은 집에 시체를 두고 변태짓을 한다고까지 비난한다.

 

    하지만 그 누가 가오루코에게 돌을 던질 수 있을까. 특히 엄마의 입장이라면 더더욱 말이다. 내 자신은 연명치료를 하지 않고 장기를 기증하겠다고 자신있게 선언할 수 있어도 내 아이가 그런 입장이라면 그렇게 쉽게 결정할 수 있을까. 미친 엄마라는 세상 사람들의 비난에 대한 가오루코의 대답이 바로 엄마의 마음이다.

 

세상에는 미쳐서라도 지키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 있어. 그리고 아이를 위해 미칠 수 있는 사람은 엄마뿐이야. (p493)

 

    작가는 장기기증을 기다리는 부모, 아이를 보내고 싶지 않은 부모의 두 입장을 모두 보여준다. 자신의 아이를 살리기 위한 장기기증이 필요하다고 해서 어떤 아이가 뇌사하기를 빨리 바라는 부모는 없다. 내 아이의 심장이 뛰고 있는 한 난 뇌사를 인정할 수 없다라는 부모라 할지라도 윤리적 딜레마에 무관심할 수 없다. 서로 다른 입장의 부모들만 이 갈등의 주인공은 아니다. 양심과 위엄으로 의술을 베풀고 환자의 건강과 생명을 첫째로 생각하겠다는 히포크라테스 선서가 마음에 걸리지만 뇌사임이 의심되는 어린아이가 3년 이상을 신체의 통합성을 이루며 생존하는 것을 본 의사는 아이의 뇌를 해부하고 싶어하고, 장애인의 삶의 질적 향상을 위해 최첨단 의료 과학 기술을 연구하는 연구원은 아이를 실험대상으로만 생각한다.  히가시노 게이고는 이번에도 여지없이 인간의 본성 저 아래에서 끊임없이 충돌하는 문제를 끄집어내어 사회적 이슈로 만드는데 성공했다. 대단한 작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