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하철에서 책 읽는 여자
크리스틴 페레플뢰리 지음, 최정수 옮김 / 현대문학 / 2018년 2월
평점 :
절판
순전히 제목에 낚여 장바구니에 덜컥 넣어버린 책이다. 왜 그런거 있잖은가, 오..나도 지하철에서 책 읽는 여자인데, 어딘지 나를 대변하는 책일 것 같고 좋건 나쁘건 소설 속 주인공에게 일어나는 일이 나한테도 일어날 것 같고 하는 그런 친밀감말이다.
쥘리에트는 매일 같은 시간 지하철 6호선의 같은 칸에 타서 주변의 책 읽는 사람들을 관찰하는 습관이 있다. 우리나라는 이제 지하철에서 책 읽는 사람들을 거의 찾아볼 수가 없지만 아직까지도 유럽에서 기차나 지하철을 타면 세월의 때가 묻은 듯한 문고판 책들에 파묻혀있는 사람들을 많이 볼 수 있다. 물론 지하철에서 휴대폰이 터지지 않기 때문에 그럴 수도 있지만 뭐, 암튼, 그들이 책을 많이 보는건 사실이다. 녹색모자를 쓴 남자는 어떤 역에서 몇시에 타서 몇분 후에 어느 역에서 내리고 늘 곤충에 관한 책을 보며 어떤 노부인은 요리책만 들여다본다. 그런던 어느 날, 다른 날과 변함없는 출근길, 쥘리에트는 갑자기 평소와 다른 풍경을 보면서 출근하고 싶어진다. 그래서 일부러 다른 역에서 내려 걸어가기로 하는데 무언가에 이끌려 어떤 집 대문앞에 서게 되는데, 대문 사이에 책 한권이 끼여있고 대문에는 <무한도서협회>라는 글씨가 새겨져있다.
이후 쥘리에트는 '책 전달자' 역할을 하게 된다. 일종의 '북크로싱' 운동인데, 북크로싱이 공공장소에 책 한권을 놓아두고 그걸 발견한 사람이 책을 읽고 또 다시 다른 장소에 놓아두고 하면서 독자가 책을 발견해서 선택하길 바라는 소극적 운동이라면 책 전달자들은 '책이 독자를 선택하게' 해줘야 한다는 것이다. 즉 책 전달자가 책을 먼저 선택한 후 그 책에 딱 맞는 사람을 직접 찾아 나선다는 것이다. 그러려면 쥘리에트처럼 누군가를 계속 관찰하기도 해야하고 필요하다면 그 사람을 쫓아다니기까지 해야한다는 것. 스토킹 같은 집요한 면이 있기는 하지만 암튼 여기에 등장하는 '책 전달자'의 역할이 그렇다.
이야기의 소재는 흥미로운데, 어째 스토리가 너무 약하다. <무한도서협회>의 정체도, 거기에서 책 전달자들에게 책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솔리망도, 그의 딸도, 이야기의 처음에는 엄청난 역할을 할 것처럼 판이 마구 벌어지는데, 결국 그냥저냥 이야기가 끝나버린다. 누가 다시 써주실 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