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말 어원사전 - 알아두면 잘난 척하기 딱 좋은 ㅣ 잘난 척 인문학
이재운 지음 / 노마드 / 2018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알아두면 잘난 척하기' 시리즈가 요즘 인기다. 영어잡학사전, 우리말잡학사전, 철학잡학사전 등에 이어 '우리말 어원사전'이 나왔다. 말이 잘난 척이지, 이 책들을 읽다보면 나의 무지에 부끄러워지기 마련이다. 특히 이번에 나온 우리말 어원 사전은 재미있기도 하지만 우리가 평소 생각없이 사용하는 많은 어휘나 표현들이 어디에서부터 시작되었는지를 알려주는 기특한 책이다. 사실 '우리말'이라고는 했지만 좀 더 정확히 말하자면 순우리말이라는 뜻은 아니고 '우리가 쓰는 말'이라고 해야겠다.
우리말의 많은 어휘들이 한자로부터 기원했다는 것은 대부분이 알고 있겠지만 왜 그러한지에 대해서는 깊게 생각해보지 않은 것 같다. 그저 예전부터 중국의 문화권에 있었으니 그러지 않았나 짐작할 뿐이었다. 일제 강점기를 지내면서 일본어의 많은 잔재들이 우리말에 여전히 남아있고 그 잔재들을 없애고자하는 노력들이 많이 있어왔다. 그런데 '신라의 백제 강점기'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는가? 저자는 신라의 백제 강점기에 대부분의 우리말이 한자로 뒤덮였고 고려가 원나라의 부마국이 되면서 많은 몽골어가 왕실로 들어와 우리말로 흡수되었음을 지적한다(충선왕의 경우는 외할아버지가 쿠빌라이였으니 말 다했다). 게다가 불교가 전해지면서 인도어가 어원인 많은 불교용어들 역시 우리말과 섞이게 되었다. 저자는 신라의 삼국통일 이후 나라의 지명이 모조리 한자로 바뀐 것을 두고 일제 강점기의 창씨 개명에 비교할 정도이다. 이 때 덮어쓴 한자어가 우리말의 전승을 방해하고 결국 문학언어로서의 발전을 할 수 없게끔 하는 주된 이유였다는 것이다. 이렇게 문학언어의 미개가 우리 말로 된 논문이나 문학 작품이 세계적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원인이 된다는 점인데, 정말 공감되는 부분이다.
저자는 고조선시대부터 광복 이후 현재까지 시대별로 우리가 많이 사용하는 어휘나 표현의 어원을 설명한다. 어원의 마지막에 각 언어나 표현이 잘못 사용된 예를 특정 문학작품에서 발췌하거나 일반적인 문장으로 알려주고 있는데, 예를 들어 조선시대나 되어서야 사용되기 시작한 단어를 삼국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소설이나 사극에서 사용하는 경우를 지적한다. 그만큼 작가를 비롯해서 대중매체에서 무엇을 전달할 때에는 사용하는 단어 하나 어휘 하나에도 철저한 고증을 통해 시대에 맞는 표현을 해야한다는 것이다. 오랫동안 우리말처럼 사용된 단어들을 하루 아침에 어색한 순우리말로 바꾸는 것이 쉽진 않겠지만 뜻을 알기도 어려운 한자어의 사용을 줄이는 것과 인터넷, 방송, 광고 등에서 남발하는 국적을 알 수 없는 '독'을 빼내는 일은 정말 시급한 과제가 아닌가 싶다. 수많은 외국의 단어들과 함께 뒤죽박죽 된 우리말, 씁쓸하지만 어쩔 수 없다면 그 뒤에 숨은 어원이라도 알고 사용하도록 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