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시대 회화 - 오늘 만나는 우리 옛 그림
윤철규 지음 / 마로니에북스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회가 있다면 동양 특히 우리나라의 옛 그림에 관한 책들을 일부러 찾아 읽어보려고 하는 편이라 이번에는 조선시대 회화에 관심을 가져봤다. 유럽의 회화는 직접 찾아가서도 보고 한국에서 전시도 하면 비싼 입장료를 순순히 내고서도 보고 각종 책이나 도판으로도 보게 되는데, 왜 우리나라의 회화는 그러지 못할까 자문해보았다. 그냥 일반인의 입장에서 보자면 우선, 우리가 접할 수 있는 그림이 그렇게 많지 않다. 조선시대 500년의 회화라고 대중들에게 노출되어있는 그림이 얼마나 될까. 게다가 유럽의 그림들에서 볼 수 있는 풍부한 이야기들이 많지 않다. 있다 하더라도 중국 고사 이야기가 대부분이고 이해하기 어려운 한자로 되어있어 재미를 붙이기가 어렵다.

   이 책은 조선 시대 500년의 회화가 어떻게 변화되어 왔고 그 그림들을 어떻게 이해하고 읽어내야 하는지에 대한 조언이 담긴 책이다. 그래서 그와 관련된 대표적인 작품들 위주로 수록이 되어 있어 우리 눈을 즐겁게 해줄 미술 작품들을 기대했다면 아쉬울 수 있다. 하지만 작품 하나하나에 대한 설명이 아니라 이렇게 조선 시대 회화를 어떻게 대면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기본을 알려주는 책은 처음 접해본지라 아쉬운 작품 수를 상쇄하고도 남음이 있다.

   짐작은 했지만 조선 시대는 기승전 중국이었다. 화론도 중국의 화론을 따라가고 회화에 반영된 사상이나 회화를 대하는 태도도 중국의 주자성리학과 은자 사상이 그대로 반영되었다. 시를 그림으로 표현해내는 시의도는 우리만이 가지고 있는 것이라고는 하지만 그림으로 표현된 시나 문학의 대부분이 중국 작품이라는 점을 보면 중국의 영향에서 벗어난 독자적인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지 않을까. 또 한가지 안타까운 점은 당시 회화에 대한 기록도 많지 않을 뿐더러 그마저도 그림이 거의 남아있지 않다는 것이다.  도대체 왜일까? 가장 큰 이유는 조선을 관통했던 사상인 주자성리학이 감성적인 문화예술 활동을 통제했다는 점이다. 그림을 감상하는 일을 완물상지 즉 쓸데없는 것으로 치부하여 비난의 대상이 되고 죽음에 이르기까지 하니 자유로운 예술 활동은 위축될 수 밖에 없었을 것이다. 그때문인지, 피렌체의 메디치 가문이나 예술을 장려했던 유럽의 왕들처럼 재정적 기반과 보호 역할을 할 수 있는 그런 든든한 배경이 존재하지 않았다. 그렇게 척박한 환경에서도 강세황, 최북, 이인문, 김홍도, 신윤복, 김정희, 장승업 같은 위대한 화가들이 나오기는 했지만 그들 뒤에 돈 많고 예술을 사랑하는 후원자들이 있었다면 지금 우리의 미술은 달라졌을까라는 질문을 해보지 않을 수 없었다. 이 책 한권으로 조선 시대의 회화를 이해할 수 있는 지식을 얻었다라고는 하기 어렵지만 예술에 대한 인식의 부족이 어떻게 지금의 현실로 이어졌는지를 알게 해준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