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사라는 참을 수 없는 농담 - 짧지만 우아하게 46억 년을 말하는 법
알렉산더 폰 쇤부르크 지음, 이상희 옮김 / 추수밭(청림출판) / 201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선택하는 기준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이 책은 무엇보다 제목이 마음에 들어 내 책장으로 모셔온 책이다. 부제는 '짧지만 우아하게 46억년을 말하는 법'인데, 이 또한 끌리는 문구였다. 세계사의 어떤 일들이 저자에게 '참을 수 없는 농담'으로 다가왔는지 궁금했다. 그런데 책을 읽다보니 내용이 너무 평범하여 책의 원제를 찾아보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원제가 독일어인지라 검색을 해봤더니, 이런...나같은 사람이 한두명이 아니었나보더라. 원제는 그냥 멋대가리 없는 '세계사'라는 것. 어쩐지..이제서야 기대를 내려놓고 편하게 읽을 기분이 들었다.

   솔직히 말해 이 책을 세계사를 다룬 책의 범위에 넣기는 어렵다. 사실 저자가 서문에서 고백한 바에 의하면 아마추어 역사가라 자처하는 유럽의 저널리스트가 유럽인의 관점으로 정리한 결과물이기 때문에 독자가 어느 정도는 치우친 시각을 따라가게 되리라는 것에 대해 감수해야만 한다. 나는 그 점에는 별로 토를 달고 싶은 마음은 없다. 인류의 역사에서 유럽의 역사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는 것은 사실이기 때문이다. 부분적으로 드러나는 저자의 참신한 관점들은 눈여겨볼 가치가 있다고 생각되나 전반적으로 담겨진 내용은 큰 임팩트를 주지는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왜 역사를 궁금해할까라는 질문에 대해 아테네의 연극을 끌어들인 부분은 놀라운 관점이었다. 우리는 왜 역사에 집착할까? 역사가 '객관전 진실을 붙잡는 학문이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왜 인간은 그렇게나 과거를 알고 싶어하는 것일까? 저자는 그 이유를 아테네의 연극무대에서 찾는다.

 

연극은 우리 자신을 살피고, 우리가 갈망하는 것과 우리의 어두운 면을 무대에 되비쳐 직접 눈으로 보게 하자는 의도에서 생겨났다. 안전한 거리를 두고 펼쳐지는 일종의 연출된 자가치료의 시간이 되는 셈이다.

 

   즉, 우리가 서로에게 과거의 이야기를 들려주고 일깨우는 것은 스스로를 위로하기 위함이라는 것이다. 거창한 학문적 필요에 의해서가 아니라, 현재의 삶을 살아가기 위한 질문들에 대한 대답을 이미 한 시대를 살아온 사람들의 삶에서 찾고 거기에서 위로를 발견하고자 한다는 것이다. 저자의 이런 관점이 마음에 들었다. 그동안 읽어왔던 세계사를 다룬 책들과 어떤 다른 점이 있을지 기대가 되기도 했는데, 정작 이어지는 글들에서는 이 차별화된 시각을 전혀 찾아볼 수 없어 안타까웠다. 그리고 또 한가지 기겁한 부분이 있었는데, 저자가 유발 하라리와 친구인 모양이다. 유발 하라리의 이름을 빌어 기술한 내용들이 종종 눈에 띄는데, 친구의 유명세에 좀 많이 편승하는 것처럼 보이는 부분이 어찌나 거슬리던지.. 

   각 장이 마무리 될 때마다 등장하는 '역사를 바꾼 결정적 순간, 도시, 영웅...'등을 TOP 10으로 정리한 부분과 맨 마지막의 '우리가 모르거나 잘못 알았던 역사적 진실들'이라는 코너는 지극히 저널리스트스러운 기록물이라고 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