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라마와의 랑데부
아서 C. 클라크 지음, 박상준 옮김 / 아작 / 2017년 3월
평점 :
흔히 SF 하면 생각하게 되는 스토리가 있다. 이는 그동안 읽었던 소설이나 봐왔던 영화에 바탕을 두고 생겨난 것일텐데, 지금까지 내가 가지고 있던 개념의 범위를 흔들어놓았던 SF 작품이 단 한권 있었는데, 바로 테드 창의 <당신 인생의 이야기>였다. 그리고 바로 이 책, <라마와의 랑데부>가 두번째가 되었다. 특히 이 책은 1973년에 쓰여진 이야기인데, 지금으로부터 거의 50여년 전에 외계의 문명에 대해 이렇게나 아름답고 정교한, 그러면서도 절대 상상력을 남발하지 않은 절제미를 갖춘 작품이 탄생했다는 것이 놀라웠다.
시간적 설정은 서기 2130년, 이미 태양계의 대부분의 행성과 위성에는 인간들이 거주하고 있고 세상은 더 이상 지구 안에서 나라로 쪼개지는 것이 아니고 행성 중심으로 돌아간다. 지구 대표, 수성 대표, 달 대표, 화성 대표...이런 식으로 각 행성에서 온 대표들로 구성된 우주자문위원회가 달에 위치한 행성연합본부에서 태양계와 관련된 모든 문제들을 의논하고 결정하는 식이다. 어느 날 태양계에 진입하여 엄청난 속도로 날아오고 있는 한 소행성을 탐지되고 조사 결과 이 소행성은 4분의 자전주기를 가진 40킬로미터 길이의 원통형의 인공물이라는 결론이 나온다. 인간들은 여기에 라마라는 이름을 붙이고 라마가 그대로 이동할 경우 태양계에 미칠 위험과, 지구 이외의 행성에서 거주할 정도로 우주에 대한 지식의 발전과 기술적 발전을 이루었음에도 절대 만날 수 없었던 외계 문명에 대한 호기심으로 라마와의 랑데부를 결정하게 된다.
노턴 선장이 이끄는 인데보 호가 그 임무를 맡게 되는데, 이야기의 대부분은 노턴 선장과 선원들이 라마를 탐험하는 과정과 거기에서 발견하게 되는 것들에 대한 묘사로 이루어져있다. 그들의 뒤를 바싹 붙어 따라가면서 어떤 신기한 혹은 대단한, 그것도 아니면 위험한 문명과 만나게 되나 조바심을 내게 되는데, 일반적인 SF의 등장하는 외계인이나 외계 문명을 기대한다면 실망할 지도 모르겠다. 드라마적인 요소가 등장할 듯 말 듯 하면서 한껏 긴장과 호기심으로 부풀어 오른 상상력을 누그러뜨리기 때문이다. 라마 전체를 압도하는 침묵과 고요가 이 이야기를 이끄는 주된 동력이고 아름다움이라는 생각을 이야기를 다 읽고 난 지금에야 하게 된다.
노턴 선장이 스스로에게 다짐한, 라마안에 있는 그 어떤 것도 파괴하지 않겠다는 신념을 깨고 마지막으로 런던이라 이름붙인 지역의 밀봉된 건물의 벽을 잘라내고 들어간 곳에서 거대한 유리 신전을 발견한다. 각각의 유리기둥 안에는 라마인들의 물건이라 생각되는 것들이 3차원 입체 영상의 홀로그램으로 카달로그처럼 보관되어 있는데, 라마인들이 입었을 것이라고 생각되는 우주복을 통해 대략적인 라마인들의 신체적 특징을 상상할 수 있게 된다. 라마인들의 '방주'인 셈이다. 노아의 방주는 방주에 있던 생물들만이 살아남은 반면, 라마의 방주는 그들의 원형을 담아 우주로 보내 언젠가 적당한 장소를 만나게 되면 정착해서 바다를 자양분 삼아 보전된 원형에서 모든 것을 다시 새롭게 만들어낼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었다. 하지만 여기에서도 여전히 작가는 라마인들 자체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는다. 노턴 선장 일행은 유리신전에서 정작 라마인들의 원형은 발견하지 못한 채, 인데버 호는 라마와 작별해야 할 시간을 맞이한다.
태양 궤도를 도는 또 하나의 행성이 될 것이라 생각했던 라마가 태양을 향해 정면으로 돌진하는 마지막 모습은 가장 아름답고 감동적인 장면이다. 반짝이는 누에고치 같은 것으로 스스로를 둘러싸고 태양으로부터 다음 여행을 위해 필요한 에너지만을 오롯이 흡수한 채 멀어져 가는 라마의 마지막 모습에 허탈함과 경외감이 동시에 느껴진다. 아..역시...인간의 사고는 우주의 다른 문명을 이해하기엔 아직도 턱없이 부족하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