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읽는 여성 세계사 - 그 많던 역사 속 여성들은 다 어디로 사라졌을까
케르스틴 뤼커.우테 댄셸 지음, 장혜경 옮김 / 어크로스 / 2018년 3월
평점 :
절판


   지난번 도서전에서 구입한 책인데, '빠진 퍼즐 채우기'라는 소제목이 마음에 들어서 냉큼 집어들었던 책이다. 역사는 흔히들 승자의 기록이라고 하는데, 그렇게 말하는 것에는 다 그만한 이유가 있다는 걸 우리는 알고 있다. 특히나 역사 속 여성의 존재에 대한 것이라면 더더욱 편파적이지 않다라고 그 누가 자신있게 말하겠는가? 역사 속에서 이름을 남겼던 여성의 대부분은 부정적인 팜프파탈의 이미지에서 벗어나지 못하거나 빠진 퍼즐을 맞추는 것은 고사하고 있던 퍼즐 조각마저 빼버리는 그런 만행이 우리가 역사라고 부르는 것들 안에서 행해지고 있었다는 것을 지금의 우리는 짐작만 할 뿐이다. 그래서 남은 퍼즐 조각들을 찾아 세계사의 퍼즐을 다시 끼워 맞추겠다는 야심만만한 타이틀을 달고 있던 이 책이 궁금했던 것이다. '누락된 여성의 기록을 복원해 다시 쓰는 세계사'라니 굳에 페미니즘을 운운하지 않더라도 여성이라면 호기심이 동할만하다.

 

태초에 차별이 있었다

 

   석기 혹은 청동기, 철기 시대의 고고학적 발견들은 도구나 무기와 함께 묻힌 여자가 있는 반면 진주구슬과 실패와 함께 매장된 남성도 있음을 보여준다. 메소포타미아 문명은 대제사장으로 여성을 임명하기도 했다. 하지만 동시에 수메르 문화의 뒤를 이은 바빌로니아 왕국에서는 여성이 사람들 앞에 나설 때에는 베일을 써야 한다는 것을 법전에 명시해 놓았고 중국에서는 딸을 낳는 것을 길하지 않다고 생각했으며 여성 파라오의 존재의 흔적을 사후에 깡그리 지워버리기도 했다.

 

전설은 특정한 해석을 퍼뜨리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런 전설들이 같은 패턴을 반복하는 것이 우연의 결과가 아닌 것이다
나쁜 여인이 등장해 왕을 비도덕적인 행동으로 이끌고 그로 인해 불행을 끌어들인다
여자를 희생양으로 삼아 멸망의 진짜 이유와 남자들의 실책을 은폐한다

  

   도대체, 왜, 언제부터 역사는 여성을 차별하였을까? 그 질문에 대한 대답을 찾지는 못하더라도 내가 몰랐던 역사 속 여성들의 이야기를 많이 담았을 것이라 생각했는데, 그 기대에 부응하기에는 아쉬운 부분이 많았다. '여성 세계사'라는 제목은 약간은 과대광고처럼 느껴진다. 그저 5000년 인류의 역사를 요약정리하듯 쑥쑥 넘겨보면서 가끔 여성의 이야기를 양념으로 끼워넣는 정도라고 해야겠다. 오히려 여성세계사라고 특정하지 않았다면 한권으로 5000년 인류 역사를 마치 슬라이드 필름을 한장씩 돌려보는 듯한 간결하고 시각적인 문장들이 더 어필되었을 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