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처음 읽는 여성 세계사 - 그 많던 역사 속 여성들은 다 어디로 사라졌을까
케르스틴 뤼커.우테 댄셸 지음, 장혜경 옮김 / 어크로스 / 2018년 3월
평점 :
절판
지난번 도서전에서 구입한 책인데, '빠진 퍼즐 채우기'라는 소제목이 마음에 들어서 냉큼 집어들었던 책이다. 역사는 흔히들 승자의 기록이라고
하는데, 그렇게 말하는 것에는 다 그만한 이유가 있다는 걸 우리는 알고 있다. 특히나 역사 속 여성의 존재에 대한 것이라면 더더욱 편파적이지
않다라고 그 누가 자신있게 말하겠는가? 역사 속에서 이름을 남겼던 여성의 대부분은 부정적인 팜프파탈의 이미지에서 벗어나지 못하거나 빠진 퍼즐을
맞추는 것은 고사하고 있던 퍼즐 조각마저 빼버리는 그런 만행이 우리가 역사라고 부르는 것들 안에서 행해지고 있었다는 것을 지금의 우리는 짐작만
할 뿐이다. 그래서 남은 퍼즐 조각들을 찾아 세계사의 퍼즐을 다시 끼워 맞추겠다는 야심만만한 타이틀을 달고 있던 이 책이 궁금했던 것이다.
'누락된 여성의 기록을 복원해 다시 쓰는 세계사'라니 굳에 페미니즘을 운운하지 않더라도 여성이라면 호기심이 동할만하다.
태초에 차별이 있었다
석기 혹은 청동기, 철기 시대의 고고학적 발견들은 도구나 무기와 함께 묻힌 여자가 있는 반면 진주구슬과 실패와 함께 매장된 남성도
있음을 보여준다. 메소포타미아 문명은 대제사장으로 여성을 임명하기도 했다. 하지만 동시에 수메르 문화의 뒤를 이은 바빌로니아 왕국에서는 여성이
사람들 앞에 나설 때에는 베일을 써야 한다는 것을 법전에 명시해 놓았고 중국에서는 딸을 낳는 것을 길하지 않다고 생각했으며 여성 파라오의 존재의
흔적을 사후에 깡그리 지워버리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