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프트웨어 객체의 생애 주기 ㅣ 에스프레소 노벨라 Espresso Novella 6
테드 창 지음, 김상훈 옮김 / 북스피어 / 2013년 8월
평점 :
절판
제목만 보아서는 어떤 소설일지 전혀 짐작도 할 수 없지만, 작가가 테드 창임을 확인하는 순간 오호~ 하면서 무조건적 기대를 하게 된다. <당신 인생의 이야기>로 테드 창의 작품에 입문한 뒤 처음으로 접하는 작품이다. 소설의 배경이 되는 시대는 인공지능 로봇을 만드는 기술이 어느 수준 이상으로 발전해 있고, 텍스트로만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던 시대를 넘어 가상 세계에서 자신을 아바타로 시각화하여 교류하는 방식이 보편화되어 있는 미래의 어느 시점이다.
소설의 제목인 '소프트웨어 객체'라 함은 블루감마사가 만든 인공지능을 가진 애완동물인 '디지언트'를 일컫는다. 그들이 사는 운영 체계는 데이터 어스라고 하는 가상의 세계이다. 디지언트들은 기본적인 학습은 되어있는 상태에서 판매가 되기는 하지만, 구입한 소비자가 교육이나 학습 및 관계를 통해 더욱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탑재한 존재들이다. 그래서 사랑스럽고 똑똑한 디지언트로 거듭나기도 하지만 욕을 배우기도 하고 기르는 사람의 성격이나 교육에 따라 괴팍한 성격을 지닌 골칫덩이가 되기도 한다. 디지언트들에 대한 완벽한 통제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특정 체크 포인트로 복구할 수 있는 기능도 갖추고 있다.
디지언트들은 한때의 붐으로 엄청나게 인기를 얻지만, 인간과의 상호작용이 필수적이고 소유자의 노력에 따라 발달이 좌지우지되는 복잡한 특성에 인간은 금새 싫증을 내고 주인에게 버려지거나 잊혀진 디지언트들은 가상 세계에서 쓰레기처럼 창고에 쌓이게 된다. 마치 오늘날의 애완동물들처럼. 블루감마사에서 디지언트들을 훈련시키는 업무를 맡는 애나가 과거에는 동물원에서 진짜 동물들의 사육사였다는 사실은 진짜 동물이든, 인공지능을 가진 로봇이든 본질은 동일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 아닐까. 우리는 흔히 인간과 인공지능을 비교하면서 누가 더 똑똑한지 궁금해한다. 블루감마사의 디지언트들이 초지성을 가진 인간과 비슷한 존재로 간주되었다고 한다면 뉴로블래스트의 디지언트들은 초지성을 가진 '제품'이 되는 것이 목적이다. 즉 '인간처럼 반응하지만 인간을 대할 때와 같은 책임을 질 필요가 없는' 존재를 원하는 것이다. 여기서 저자는 인간과 인공지능의 관계를 이야기한다. 사람들이 물건에 대해 느끼는 일방적인 애정이 아니라, 인간과 인공지능 사이에서 생겨날 수 있는 감정에 대해 말하고 싶은 것이다. 아무리 인공지능이 컴퓨터 프로그래밍에 의해 조작된다고는 하지만 인공지능 역시 천부인권론을 적용할 수 있는 시기가 올 지 모를 일이다. 소프트웨어 객체의 생애 주기는 인간이 하기 나름인걸까? 소설이라고 하기보다는 철학 카테고리에 가까운 여러 논쟁거리를 던져주는 작지만 힘있는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