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블러스 웨이즈의 일 년
세라 윈먼 지음, 민은영 옮김 / 문학동네 / 2018년 5월
평점 :
절판


   마술적 리얼리즘까지는 가지 않더라도 환상 소설의 성격을 지닌 이 작품은 마술적 리얼리즘의 대표적 작품인 <백년 동안의 고독>을 떠올리게 된다. 소설의 문체나 형식은 전혀 닮은 구석이 없어보임에도 불구하고 100년동안 계속되는 가문의 고독을 종식시킬 돼지꼬리 달린 아우렐리아노를 기다리는 부엔디아 가문처럼 이 작품에서는 프랜시스 드레이크를 숙명처럼 기다리는 90세를 목전에 둔 마블러스 웨이즈라는 노인이 등장한다.  <백년 동안의 고독>에서는 따뜻함이나 위로 같은 것을 느끼거나 문장이 아름답다는 생각이 들지 않았던 반면, 이 책은 모든 문장이 아름답고 서사적이며 따뜻함과 치유의 힘을 지닌 스토리를 담고 있다. 마음을 쿵 하고 내려앉게 했던 시적인 문장 몇가지만 인용해볼까..

 

그 두마디 말에서 참으로 멋진 맛이 난다고 그는 생각했다

 

푸른 곰팡이 포자가 그녀의 눈 앞에서 뒷소문을 퍼뜨리고 서로 입맞추고 몇배로 불어났다

 

끝없이 이어진 길이 신발 밑창에 새겨졌다

 

낮잠의 안개가 나무의 진액처럼 끈끈하게 붙은 채로..

 

그녀는 잠시 시간을 달라고 했다. 지나간 시간과 현재의 시간 사이의 혼탁한 베일을 걷아낼 수 있도록

 

   가장 어려운 시대였던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1940년대 후반, 다들 각자의 방식으로 상처입은 사람들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이미 아흔을 바라보면서 세인트 오피어라는 마을에서 꿈이 보여주는 믿음의 대상을 기다리는 마블러스 웨이즈, 정작 본인은 아버지가 누구인지도 모르면서 전쟁 중 만난 죽어가는 병사가 남긴 편지를 그의 아버지에게 전해주고자 콘월까지 오게되는 프랜시스 드레이크, 드레이크가 사랑했으나 결국 그를 속이면서까지 그의 곁을 떠나는 미시, 오래 전에 떠난 고향, 세인트 오피어에 빵을 굽기 위해 다시 돌아오는 여성 피스.. 이들을 포함해서 상처 투성이 인간들이 서로를 보듬고 위로하는 이야기들이 시종일관 담담하게 서술된다. (사실 가끔은 생각지 못한 유머가 있어 놀라기도 한다)

   무시무시한 단 한 줄의 예언이 성취되는 것을 보기 위해 <백년 동안의 고독>을 집어든 전적이 있는 독자라면 마블러스가 90세가 되기까지 세상을 떠나지 못하고 집시 카라반과 보트창고를 지켜낸 이유가 무엇이었는지를 알기 위해 이 책도 기꺼이 선택하리라고 본다. 드레이크 = 슬픔이 드레이크 = 조금은 더 행복해짐으로 바뀌는 순간을 목도하는 자에게는 복이 있나니... '경이로운 길'이라는 뜻의 이름을 지닌 누군가와 일년을 함께 보내는 일은 그 자체로서 환상일 수 밖에 없으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