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재를 떠나보내며 - 상자에 갇힌 책들에게 바치는 비가
알베르토 망겔 지음, 이종인 옮김 / 더난출판사 / 2018년 7월
평점 :
품절


    '서재를 떠나보내며'라는 제목과 '상자에게 갇힌 책들에게 바치는 비가'라는 부제만 보면 저자가 3만5천여권의 장서를 보관했던 프랑스 시골 집을 떠나 맨하탄의 방 한칸짜리 아파트로 이사하게 되면서 어쩔 수 없이 자신의 책들을 책장에서 상자로 옮겨야만 했던 (애서가라면 누구나 공감할) 마음 아픈 사건에 대한 회고록처럼 보인다. 하지만 끝까지 읽어보니, 그 엄청난 사건을 빌어 현재 아르헨티나 국립 도서관장인 저자가 보내는 보르헤스(아..보르헤스를 여기서 만날 줄이야!)와 (종이)책에 대한 일종의 오마주를 나타낸 글이다.  

 

" 나는 언어의 구체적 물질성, 책의 단단한 현존, 그 형체, 크기, 질감을 원한다. 나는 전자책의 간편함과 그게 21세기 사회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을 이해한다. 그러나 전자책은 플라토닉한 관계의 특성만 갖고 있을 뿐이다. 그 때문에 나는 내 양손이 너무나 잘 알고 있는 그 종이책의 상실을 아주 안타깝게 생각하는 것이다. 나는 믿으려면 먼저 만져봐야 한다는 도마같은 사람이다."

 

   마치 마르셀 프루스트가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서 마들렌을 보고 어린 시절을 회상하듯, 저자는 자신의 '영혼의 진료실'이었던 책들을 상자 속에 담았던 비극적 사건을 통해 책이라는 존재가 자신에게 어떤 의미인지를 떠올린 것이다. 저자에게 있어 책 싸기는 망각을 연습하는 행위이고 책 풀기는 책에 대한 기억을 소환하는 의식인 것이다.

   오래 전 기억을 떠올릴 때면 그렇듯이 저자의 책에 대한 기억도 마치 의식의 흐름처럼 저자의 기억 여기저기를 관통한다. 우리는 3세기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으로도 갔다가 저자가 어렸을 때 다녔던 공공도서관으로도 소환된다. 에드거 앨런 포우의 갈까마귀 텍스트 속에서 돈키호테의 꿈 속으로 순간이동을 하기도 한다. 작가들의 다락방에 초대받기도 하고 저자가 눈이 먼 보르헤스에게 책을 읽어 주던 그 서점에 가 있기도 한다. 저자에 의해 여기저기 끌려다니다 보니 약간은 정리되지 않은 혼란스러운 책 읽기가 되었다고 말할 수도 있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책의 마지막 장을 넘겼을 때, 나의 기억에 또렷이 각인된 한가지가 있다면 고대 그리스 역사가였던 디오도루스 시쿨루스가 폐허가 된 고대 이집트의 도서관의 입구에서 발견한 이 단어가 아닐까.

 

 

"영혼의 진료실"

 

   나의 (빈약한) 서재에도 적어놓아 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