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로마에서 24시간 살아보기 - 2000년 전 로마인의 일상을 들여다보는 생활 밀착형 문화사 ㅣ 고대 문명에서 24시간 살아보기
필립 마티작 지음, 이정민 옮김 / 매일경제신문사 / 2018년 6월
평점 :
품절
정말 창의적인 저서를 만났다. 처음에는 '로마에서 24시간 살아보기'라고 해서 당일치기 여행이라는 말도 안되는 이야기인가...라고 생각했는데, '고대 로마의 24시간'이라고 생각하면 의미가 통할 듯하다. 즉 2000년 전 일반적인 로마인(황제나 왕족, 귀족들은 제외하고)들의 일상을 밀착 취재한 저서라고나 할까. 하루의 시작, 자정부터(로마식 표현으로 하자면 밤의 여섯번째 시간) 그날의 자정이 될때까지 24시간을 한시간 씩 쪼개어 그들의 일상을 들여다보는 것이다. 매 시간마다 순찰대원, 제빵사, 황제의 전령, 학생, 법학자, 석공, 점성술사, 요리사, 여사제, 상인 등 총 24명이 등장하지만 매 시간 속으로 직접 들어가보면 그들 개인의 이야기가 아닌 주변의 다른 인물들과 함께하는 삶을 그려내고 있다. 그리고 각 시간의 인물들이 시간이 끝나면서 종료되는 것이 아니라 그 다음 시간에 다시 등장하면서 마치 시리즈 같은 느낌을 주기도 한다.
매 시간 속 이야기는 그들의 개인적인 삶을 보여준다기 보다는, 그들의 한시간이 모여 로마의 24시간을 그려내고 결국에는 황제나, 정치가나, 왕족이나 귀족들이 아닌 수많은 로마인들의 삶을 보여준다는 의미에서 24시간은 단순한 하루가 아니라 2000년 로마인들의 흔적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저자는 이 특별한 하루의 시간적 배경을 제14대 황제인 하드리아누스가 통치하던 어느 날로 선택한다. 참고로 하드리아누스는 고대 로마 5현제 중 한명으로 로마의 5현제가 통치하던 시기는 로마가 가장 평화롭고 번영를 누린 시기라는 팍스 로마나라고 불리웠던 시대이다.
책에 등장하는 인물 대부분은 가상의 인물이지만 당시의 서신이나 각종 자료들을 참고하여 최대한 진정성있게 매 시간 시간을 구상한 저자의 노력이 돋보인다. 중간중간 삽입된 실제 편지 내용이나 저작물 및 각종 일화들의 인용 속에 담긴 내용은 저자가 만들어낸 로마의 24시간이 절대 허무맹랑한 소설만이 아님을 입증한다. 특히 유베날리스의 <풍자시>는 너무 적나라하게 까발린데다 현대의 유머코드와 비교해도 전혀 손색이 없을만큼 통쾌했다. 나중에 그의 풍자시만 별도로 읽어봐도 재미있을 듯 하다. 로마인들의 하루를 24인의 눈으로 보고나니 그들의 다음날이 궁금해진다. 고대 로마의 역사, 정치에 관한 저서는 수도 없이 많지만 이렇게 평범한 하루를 살다간 사람들의 시선은 또 다른 즐거움을 전해주었는데, 특히 폼페이에서 발굴된 유적의 모습에서 찾아낸 그들의 일상을 담은 사진을 보니 폼페이에서 느꼈던 그 강렬한 감정이 다시금 역류하여 그날로 돌아가고 싶은 생각이 간절하다.
마지막으로 책속의 재미있는 가십하나 인용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