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복 입은 남자
이상훈 지음 / 박하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루벤스 "한복 입은 남자"를 다시 보다.

  1993년, 한창 대입 준비를 해야할 고등학교 시절 나는 수업시간에 교과서와 함께 소설을 펴 놓고 있었다. 교과서 보다 내 눈을 사로잡았던 책들은 김진명님의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와 오세영님의《베니스의 개성상인》이었다. 당시는 라디오를 통해 밤10시쯤이면 각 출판사에서 신간에 대한 라디오 광고를 듣는 것도 재미가 있을 때였다. 특히 역사소설을 좋아하는 나에게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와 《베니스의 개성상인》은 나도 역사소설을 쓰는 소설가의 꿈을 짧게 나마 꾸게한 책이었다.


  《한복 입은 남자》의 겉표지를 보면 루벤스의 "한복 입은 남자"를 볼 수 있다. 1993년 읽었던 《베니스의 개성상인》과 같은 소재로 쓴 책이란 걸 대번에 알 수 있었다. 나는 《베니스의 개성상인》을 읽고 이와 비슷한 《안토니오 꼬레아》라는 책도 읽을 정도로 꽤나 역사적 궁금증을 가졌었다. 그래서 어느덧 20년이 지난 지금도 오세영님의 열혈팬으로 남아 있기도 하고 단연코 좋아하는 소설 중 하나로 손꼽기도 핟다. 그래서 표지에서 만난 "한복 입은 남자"는 20년 전의 내 모습을 보는 기회가 되기도 했다.


같은 소재, 다른 시각(視角)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 책은 루벤스의 "한복 입은 남자"를 소재로 만들어 진 소설이다. 이상훈 작가는 루벤스의 "한복 입은 남자" 보다는 '장영실'이라는 조선 세종 때에 우리에게 측우기와 물시계 등을 개발한 인물에 대한 자료를 찾다가 이 책이 시작되었지만 말이다. 덕분에 과거에 읽었던 송상(개성상인)으로서의 '안토니오 꼬레아'는 잊고 새로운 시각으로 책을 읽을 수 있었다. 


536쪽 방대한 양, 하지만 강한 흡입력!

  536쪽의 소설치고는 제법 두툼한 양이다. 일반적인 책들이 300쪽 내외인 걸 비교한다면 두 권으로 분철해도 나쁘지 않을 듯 하다. 하지만 이 책은 겉으로 보이는 책의 두께로만으로 부담을 가질 필요는 없을 듯 하다. 소설이든 비소설이든 책 한 권을 읽는 데 적어도 일주일 정도 소요되는 내가 나흘만에 읽었다는 건 최근에 읽은 어떤 책에 비하지 못할 정도로 재미를 주며 책에 몰입하게 만든다.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비행기 모형을 보면서 시작된 안토니오 꼬레아 후손과의 우연한 만남과 장영실의 과거로 이어주는 그의 후손이 건내주는 비망록. 그리고 비망록을 번역해 가면서 알게 되는 장영실의 사랑과 고난이 담긴 인생. 동·서양을 넘나드는 전개는 이 책의 매력이라 단연 손꼽을 수 있겠다.


틀린 역사일지라도 알릴 수 없는 불편한 진실

소설인 만큼 픽션이 가미된 것이겠지만 이 소설에서는 꽤 많은 중세 유럽의 유명인들이 등장한다. 토스카넬리, 베로키오,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그 주인공들이다. 장영실은 토스카넬리와는 친구로 지냈고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그의 제자가 되었다는 설정으로 이 소설은 만들어졌다. 마지막 부분에서 이런 사실을 밝히게 되지만 현존하는 역사학자들의 부정으로 틀린 역사를 진실로 인정해야 하는 상황을 보게 된다. 참으로 우리의 현실을 돌아보게 하는 부분인 듯 하다. 


장영실이 그의 재능으로 세종(世宗)과 수많은 사람들의 도움으로 노비의 신분에서부터 평민이 되고 조선을 넘어 명나라와 아프리카, 유럽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보면서 어느덧 계급화 되고 계층화 되어가는 우리 사회의 현실을 비교해 보게 된다. 한편으로 장영실과 같이 천재적 재능은 아니더라도 꾸준히 노력하면 신분 상승과 부를 거머쥘 수 있는 사회가 되길 바라본다.



운 좋게도 쌤앤파커스에서 시행한 사전 리뷰단에 선정되어 종이책으로 출간되기도 전에 이 책을 만났다. 한동안 소설은 멀리 했던 편중된 독서를 이번 기회로 조금은 해소했다고 생각한다. 추운 겨울 따뜻한 방에 앉아 즐거운 역사 나들이를 떠나보면 어떨까? 아마 대한민국의 자존심을 가슴에 담는 좋은 시간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365 공부 비타민 - 보기만 해도 공부하고 싶어지는
한재우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4년 11월
평점 :
절판


공부란 왜 하는 것일까? 

우리는 이유도 모른 체 어릴 적부터 부모의 등쌀에 못이겨 어린이집, 유치원, 학원을 시작으로 초·중·고·대학교까지 꾸준히 공부를 한다. 요즘은 이를 넘어 평생교육의 시대라고 일컬을 만큼 죽을 때까지 공부를 한다. 그렇게 긴 시간을 공부에 매달려 살아감에도 정작 공부를 왜 하는지에 대한 이유를 찾게 되는 건 자신의 인생에 대해 깊이 있는 고민이 있은 후에나 가능한 일이다. 사람에 따라 그 시기는 천차만별이겠지만 실제 입시 위주의 우리나라의 학생들에게 공부의 이유를 묻는다면 대부분 어떤 대답을 할까? 정말로 자신이 생각하는 공부하는 이유를 논리적으로 대답할 수 있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따지고 보면 저마다 공부의 이유는 다를 수 있다. 하지만 근본적 이유는 자기만족의 자유를 위한 것이 아닐까 한다. 이 자유의 크기는 사람마다 다를 것이다. 그 방법 역시 금전적 자유를 원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고, 신체의 자유, 정신의 자유 등 여러가지 자유를 얻기 위한 수단에 공부라는 것이 있는 것이다. 그렇다고 공부라는 것이 특별한 방법이 있는 건 아니라고 생각된다. 사람과 사람이 만나서 나누는 대화에서부터 독서, 강의, 여행 등 직·간접적으로 체험하는 모든 것들이 공부 아니겠는가.

 

《365 공부 비타민》이 하고픈 얘기는?

과연 우리는 공부를 얼마나 즐길까? 사람이란 것이 참으로 독특해서 아무리 좋아하는 것도 어느 정도 하고 나면 질리게 되는 권태감이 생긴다. 사람 사이에서건 일에서 혹은 그 외의 모든 부분에서 말이다. 그러한 부분이 생겨나지 않는 사람이라면 진정으로 성인(聖人)의 경지에 오른 사람이라 볼 수 있지 않을까 싶다.

 

《365 공부 비타민》은 일반의 평범한 모든 이들이 공부를 왜 해야하는지를 생각하게 만들어 주는 도구이다. 365일 동안 매일 한 페이지씩 자기 스스로를 채찍질 할 수 있게 만들어져 있다. 책 제목처럼 비타민이다. 매일 하나씩 먹어야 한다. 먹을 때는 금세 내 몸에 남아서 기운이 나게 만드는 데 시간이 지나면 잊혀져 또 다음날이면 먹어줘야 한다. 책 제목이 참 잘 만들었다는 생각이 드는 부분이다.

 

저자가 프롤로그에도 언급한 것처럼 공부에는 왕도가 없는 것 같다. 이해력의 차이는 있을 수 있겠지만 능력이 부족하면 노력으로 채우면 되는 것이 공부라고 본다. 평소에 나 역시 이 책의 저자와 같은 생각을 갖고 있던 터라 책을 읽는 동안 무척 공감하는 부분이 많았다. 

 

《365 공부 비타민》을 읽으면 웬만한 자기계발서 수십 권을 한번에 읽는 듯한 느낌을 받을 것이다. 공부를 잘 하는 방법, 공부를 하고 싶게 만드는 방법이란 자기계발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노력하게 만드는 것이다. 그리고 자신이 가장 잘 이해하는 법을 찾아서 노력하는 것이라 말한다.

 

조금 느슨한 삶은 살고 있다면 이 책과 함께 자신을 독려해 보면 어떨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떻게 원하는 삶을 살 것인가 - 불멸의 인생 멘토 공자, 내 안의 지혜를 깨우다
우간린 지음, 임대근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14년 10월
평점 :
품절


 

살면서 한번쯤 '공자(孔子)' 혹은 그의 말을 적어놓은 '논어(論語)'를 들어봤음직 하다. 워낙 유명한 성인(聖人)이다 보니 그가 했다는 말 한 마디 한 마디가 다 삶에 귀감이 되고 체득해야 할 것임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조선시대처럼 논어를 읽고 배우는 사대부의 삶을 살 수 있다면 얼마나 좋겠는가만은 바쁜 현대인들에게는 그저 바람일 뿐이다. 현대인들에게 공자의 삶이나 생각들이 전해지면 좋겠지만 한자를 공부해가며 논어 원전을 읽을 수도 없으려니와 문장을 해석하며 이해하는 것도 쉽지 않은 일이다. 동시대를 살아간 적도 없으니 시대상황을 이해하며 그의 말을 곱씹는 것 조차 어쩌면 무모한 도전이 아닐까 싶다.


논어에 대한 책들은 기존에 많이 출간되어 있다. 굳이 이 책이 아니라도 논어를 접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닐 것이라 생각된다. 그럼에도 이 책이 주는 좋은 점은 단순히 논어의 번역의 수준이 아니기 때문에 점수를 줄 수 있지 않겠나 한다. 첫번째 이유로 저자는 공자의 많은 제자들 중에 하나인 '자공'이라는 가상의 인물이 되어 공자와 함께 하며 상황을 풀고 있다. 그래서 독자로 하여금 보다 쉽게 상황에 몰입하게 만들어준다. 흡사 소설을 보는 것과 같은 방식을 쓰고 있다는 점이 눈에 띄는 특징이라 하겠다. 두번째는 논어의 수많은 글들을 10개의 분야로 정리하고 그에 상응하는 이야기들을 기술하고 있다는 점이다. 어쩌면 당연하게 보여지는 이 부분 역시 논어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다면 감히 엄두를 낼 수 없는 대목이 아닌가 싶다.


우리는 각자가 주어진 삶을 제대로 살고 싶어한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그저 남들처럼 살아가기 바쁘고 어느새 지나온 세월을 후회하며 자신의 모습을 바라보고 있을 때는 후회로 남은 인생을 볼 때가 많다. 이상주의자이면서도 조화로운 삶을 살고자 했던 공자의 가르침을 배우며 자신을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가져보면 어떨까 싶다.


이 책에서 소중한 문구들을 하나씩 베껴볼까 했으나 책을 덮을 땐 부질없는 짓이란 생각이 들었다. 만약 베낀다면 책을 고스란히 필사해야 할지도 모르겠다. 삶의 방향을 잃거나 지친 이에게 권유하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떻게 원하는 삶을 살 것인가 - 불멸의 인생 멘토 공자, 내 안의 지혜를 깨우다
우간린 지음, 임대근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14년 10월
평점 :
품절


살면서 한번쯤 '공자(孔子)' 혹은 그의 말을 적어놓은 '논어(論語)'를 들어봤음직 하다. 워낙 유명한 성인(聖人)이다 보니 그가 했다는 말 한 마디 한 마디가 다 삶에 귀감이 되고 체득해야 할 것임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조선시대처럼 논어를 읽고 배우는 사대부의 삶을 살 수 있다면 얼마나 좋겠는가만은 바쁜 현대인들에게는 그저 바람일 뿐이다. 현대인들에게 공자의 삶이나 생각들이 전해지면 좋겠지만 한자를 공부해가며 논어 원전을 읽을 수도 없으려니와 문장을 해석하며 이해하는 것도 쉽지 않은 일이다. 동시대를 살아간 적도 없으니 시대상황을 이해하며 그의 말을 곱씹는 것 조차 어쩌면 무모한 도전이 아닐까 싶다.

 

논어에 대한 책들은 기존에 많이 출간되어 있다. 굳이 이 책이 아니라도 논어를 접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닐 것이라 생각된다. 그럼에도 이 책이 주는 좋은 점은 단순히 논어의 번역의 수준이 아니기 때문에 점수를 줄 수 있지 않겠나 한다. 첫번째 이유로 저자는 공자의 많은 제자들 중에 하나인 '자공'이라는 가상의 인물이 되어 공자와 함께 하며 상황을 풀고 있다. 그래서 독자로 하여금 보다 쉽게 상황에 몰입하게 만들어준다. 흡사 소설을 보는 것과 같은 방식을 쓰고 있다는 점이 눈에 띄는 특징이라 하겠다. 두번째는 논어의 수많은 글들을 10개의 분야로 정리하고 그에 상응하는 이야기들을 기술하고 있다는 점이다. 어쩌면 당연하게 보여지는 이 부분 역시 논어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다면 감히 엄두를 낼 수 없는 대목이 아닌가 싶다.

 

우리는 각자가 주어진 삶을 제대로 살고 싶어한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그저 남들처럼 살아가기 바쁘고 어느새 지나온 세월을 후회하며 자신의 모습을 바라보고 있을 때는 후회로 남은 인생을 볼 때가 많다. 이상주의자이면서도 조화로운 삶을 살고자 했던 공자의 가르침을 배우며 자신을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가져보면 어떨까 싶다.

 

이 책에서 소중한 문구들을 하나씩 베껴볼까 했으나 책을 덮을 땐 부질없는 짓이란 생각이 들었다. 만약 베낀다면 책을 고스란히 필사해야 할지도 모르겠다. 삶의 방향을 잃거나 지친 이에게 권유하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떻게 원하는 삶을 살 것인가 - 불멸의 인생 멘토 공자, 내 안의 지혜를 깨우다
우간린 지음, 임대근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14년 10월
평점 :
품절


살면서 한번쯤 '공자(孔子)' 혹은 그의 말을 적어놓은 '논어(論語)'를 들어봤음직 하다. 워낙 유명한 성인(聖人)이다 보니 그가 했다는 말 한 마디 한 마디가 다 삶에 귀감이 되고 체득해야 할 것임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조선시대처럼 논어를 읽고 배우는 사대부의 삶을 살 수 있다면 얼마나 좋겠는가만은 바쁜 현대인들에게는 그저 바람일 뿐이다. 현대인들에게 공자의 삶이나 생각들이 전해지면 좋겠지만 한자를 공부해가며 논어 원전을 읽을 수도 없으려니와 문장을 해석하며 이해하는 것도 쉽지 않은 일이다. 동시대를 살아간 적도 없으니 시대상황을 이해하며 그의 말을 곱씹는 것 조차 어쩌면 무모한 도전이 아닐까 싶다.


논어에 대한 책들은 기존에 많이 출간되어 있다. 굳이 이 책이 아니라도 논어를 접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닐 것이라 생각된다. 그럼에도 이 책이 주는 좋은 점은 단순히 논어의 번역의 수준이 아니기 때문에 점수를 줄 수 있지 않겠나 한다. 첫번째 이유로 저자는 공자의 많은 제자들 중에 하나인 '자공'이라는 가상의 인물이 되어 공자와 함께 하며 상황을 풀고 있다. 그래서 독자로 하여금 보다 쉽게 상황에 몰입하게 만들어준다. 흡사 소설을 보는 것과 같은 방식을 쓰고 있다는 점이 눈에 띄는 특징이라 하겠다. 두번째는 논어의 수많은 글들을 10개의 분야로 정리하고 그에 상응하는 이야기들을 기술하고 있다는 점이다. 어쩌면 당연하게 보여지는 이 부분 역시 논어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다면 감히 엄두를 낼 수 없는 대목이 아닌가 싶다.


우리는 각자가 주어진 삶을 제대로 살고 싶어한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그저 남들처럼 살아가기 바쁘고 어느새 지나온 세월을 후회하며 자신의 모습을 바라보고 있을 때는 후회로 남은 인생을 볼 때가 많다. 이상주의자이면서도 조화로운 삶을 살고자 했던 공자의 가르침을 배우며 자신을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가져보면 어떨까 싶다.


이 책에서 소중한 문구들을 하나씩 베껴볼까 했으나 책을 덮을 땐 부질없는 짓이란 생각이 들었다. 만약 베낀다면 책을 고스란히 필사해야 할지도 모르겠다. 삶의 방향을 잃거나 지친 이에게 권유하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