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온리 - 일상이 된 모바일 라이브, 미디어의 판을 뒤엎다
노가영 지음 / 미래의창 / 2017년 12월
평점 :
절판


모바일(Mobile)의 등장으로 이를 활용한 분야가 동반 발전하고 있다. 여러 앱들이 개발되고 그중에서도 정보 전달이나 커뮤니케이션 방식이 텍스트 위주에서 사진 그리고 동영상으로 발전되었고 이제는 개인이 라이브 방송으로 실시간 정보와 상황을 전달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이런 흐름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 모바일의 발전에 기인한 것이며, 저자는 이 책《유튜브 온리》를 통해 이러한 모바일 미디어에 대한 현황과 대안을 고민하여 말한다.

모바일의 발전으로 가장 두드러진 변화는 소셜 미디어(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등)라 불리는 온라인 플랫폼의 보급과 확산이다. 그래서 최근 10년 동안 소셜 미디어를 기업과 정부 그리고 개인이 어떻게 활용할지가 큰 화두였다. 많은 논문이 나와있는 것을 보아도 그 관심의 정도를 알 수 있다.

허나 이제는 이러한 플랫폼이 성장기를 지나 성숙기로 접어드는 시점이 되어간다고 본다. 그간 양적 팽창에 주력을 해왔다면 이제는 질적인 부분을 고민해야 할 것이다. <모바일 미디어 한국 시장 랭킹>을 보면 이용자 MAU(monthly active user, 월 순방문객 수)가 유튜브가 가장 높다. 모바일 이용자들 중에서 유튜브를 단 한번도 이용해보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이처럼 동영상 이용도가 높고 이를 시청하기 위한 주된 수단이 모바일인 점을 감안한다면 앞으로 기업과 정부, 개인이 어떤 대응을 해야 할지도 금세 감이 잡힐 것이다. 더구나 Z세대(9~23세)가 모바일에서 동영상을 시청하는 비율이 높다는 점, 2016~2017년 유튜브, 페이스북의 모바일 시청 비중이 80~90%를 넘고 있다는 점은 간과해서는 안 될 부분이다.

《유튜브 온리》는 책 제목처럼 유튜브가 유일한 대안이라고 말하는 것은 아니다. 유튜브는 동영상 미디어라는 대명사로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모바일은 앞으로도 성능과 형태 등에서 많은 변화가 예측된다. 하지만 그 속에는 텍스트와 사진, 동영상이 있을 것이고 누구의 플랫폼을 이용하게 만들 것인지, 수익은 어떻게 창출할 것인지는 앞으로 이해당사자가 고민해야 할 부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