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력 - 사람을 얻는 힘
다사카 히로시 지음, 장은주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7년 5월
평점 :
절판


사람이 혼자 살아갈 수 없는다는 건  누구나 아는 사실이다. 물질적이든 정신적이든 사회적이든 서로에게 의지하며 살아간다. 사회생활을 하면서 인간관계의 범위는 점점 커진다. 성인이 되어 가는 것이란 게 더 많은 것을 수용할 수 있다는 뜻 아닌가 싶다. 하지만 더욱 성숙해야 할 것이 참 어려운 게 많다. 그 중에 단연코 손에 꼽을 것이 사람과의 관계이다. 

지난 5월 10일 우리는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을 뽑았다. 예정대로라면 오는 12월에 있어야 할 선거가 앞당겨 치뤄졌다. 그 이유는 18대 박근혜 대통령의 파면으로 인한 보궐선거였기 때문이다. 권력을 가진 자가 나쁜 생각을 가졌든 혹은 주변에 나쁜 사람들이 꼬였는지는 아직 뚜렷하게 밝혀지진 않았지만 누군가가 살아감에 주변인인 참으로 중요한 부분이라 하겠다.

학교나 직장 하물며 가정에서도 점점 개인의 생활과 사고방식이 차이가 나는 사람들이 모여 있다보니 갈등이 유발되는 건 어쩔 수 없는 현실이다. 이런 문제를 풀어보기 위해 주변 사람들과 대화도 나누고 책도 읽으며 자신을 수양한다. 대개 책은 고전을 읽으며 선인들의 삶의 방식과 처세를 반면교사로 삼는다. 궁극적으로 다양한 모방과 조언을 통해 우리는 사람을 얻는 노력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일본 아마존 베스트셀러였던 도서 《인간력》에서 말하는 인간력은 인간과 인간 사이의 관계에서 필요한 총체적인 능력을 말한다. 지식과 합리적 사고뿐 아니라 인간력이 필요하다고 저자는 역설한다. 그리고 우리가 고전을 통해 훌륭한 인간이 되지 못하는 건 고전을 읽는 방식에 있다고 판단하고 다음 세 가지를 제의한다. 첫째, 자신 안에 다양한 인격을 키우고, 그 인격들을 상황에 맞게 적절히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사람을 목표로 한다. 둘째, 마음 속 '작은 자아'를 버리려고 애쓰지 않는다. 작은 자아의 움직임을 조용히 바라볼 수 있는 또 하나의 자아를 키운다. 셋째, 이상적인 인간상을 향해 한 걸음 한 걸음 성장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행법'을 익힌다. 여기에 '인간관계가 원활해지는 마음습관 일곱 가지'를 말한다.

 

1. 스스로 미숙한 존재임을 인정한다. 인간은 완벽한 사람보다 결점이 있는 사람에게 호감을 느낀다.
2. 단단하기보다는 부드러워진다. 용기 내 솔직하게 먼저 다가가면 상대방과 더 깊이 이어진다.
3. 마음속 작은 자아의 합리화에 넘어가지 않는다. 잘못을 인정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는 책임을 떠안는다.
4. 상대를 잘 알고 있다고 확신하지 않는다. 타인의 결점을 개성으로 받아들인다.
5. 내뱉은 말이 내 감정을 다스린다는 사실을 안다. 앞에서 할 수 없는 말은 뒤에서도 하지 않는다.
6. 설사 멀어지더라도 영원히 관계를 끊지 않는다. 언제 어디서 만나더라도 화해할 수 있는 여지를 남긴다.
7. 악연의 의미를 깊이 생각한다. 불행하고 괴로운 경험을 성장으로 이어나간다.

 

일곱 가지 마음습관의 짧은 글만 읽어보아도 무척 공감이 되는 부분이 많다. 직장 내에서 혹은 사회에서 내 주변에 사람들이 왜 그랬는지, 오만하지 않았는지, 무엇이 부족했었는지를 반성하는 시간이 된다. 또 앞으로 어떤 점을 고쳐야 할지도 고민하는 시간을 만들어 주었다.

사회생활을 하면서 사람으로 인해 힘들어 하는 남녀노소들이라면 《인간력》을 통해 자신을 비추어보는 시간을 가졌으면 한다. 읽는 동안 얼굴이 화끈거리고 이불킥을 날리는 순간이 분명 한 번은 오더라도 앞으로 내가 얻게 될 많은 사람들을 생각하면 충분히 도전해 볼 가치가 있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