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너 이런 경제법칙 알아? - 네이버에서 가장 많이 검색한 경제학 키워드 100
이한영 지음 / 21세기북스 / 2016년 12월
평점 :
품절
우리는 세상을 살면서 다양한 이론들을 배우고 경험한다. 어릴 적에는 그다지 관심이 없다가
차츰 나이가 들면서 관심을 갖게 되는 것이 바로 '경제'이다. 경제에 관심을 갖는 이유는 바로 자신의 삶의 질, 더 깊이 있게 말하자면 '돈'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신문을 펼쳐보면 1면에는 그 날 중에 가장 핵심이 눈에
띄고 그 다음으로는 정치와 경제면이 뒤따른다. TV 뉴스를 보더라도 이와 같다. 이 같은 배치는 많은 사람들이 그만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을
고려한 것이라 하겠다.
경제(經濟)란 인간의 생활에 필요한 재화나 용역을 생산,
분배, 소비하는 모든 활동 또는 그것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사회적 관계라 정의한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우리 삶에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경제를 학문으로 공부하지 않더라도 세상사에 던져진 자신의 삶을 비춰보는 데 경제를 아는 것은 보다 나은 자신의 삶을 만들어 가는 데
필요조건이라 하겠다.
온라인이나 오프라인 서점에 들러 경제 관련 서적들을 찾아보면 이미 수많은 책들을
만날 수 있다. 그 중에서 경제용어와 관련한 책들은 한 해에도 수십권씩 나오고 있다. 아마 꾸준한 수요가 있기 때문일 것이다. 《너 이런
경제법칙 알아?》 역시 그 많은 책들 중에 하나인 건 사실이다.
이 책이 개인적으로
괜찮다고 느껴지는 건 첫째, 포털사이트에서 가장 많이 검색되는 키워드 100가지 순으로 정리한 점이다. 경제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들 혹은
알더라도 그때마다 등장하는 갖가지 용어들이 우리가 경제를 멀리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모든 경제용어를 외우는 건 어렵고 경제학자도 아닌
현실에서 일부러 그럴 필요도 없을 것이다. 가장 빈도가 높은 것들만 알아두어도 경제가 이렇게 되고 있고 그 속에 감추어진 내용들이 무엇이란 걸
인식하는 데는 충분하다고 본다. 둘째, 경제용어 사전처럼 볼 수 있다는 점이다. 책의 차례를 보면 ㄱㄴㄷ 순으로 편집되어 있다. 경제와 관련한
뉴스를 접하다가 손쉽게 찾아보기 쉽다는 점이다. 셋째, 용어 이해를 돕기 위한 다양한 그림들이 함께 들어가 있다는 점이다. 일일이 내용을 읽지
않아도 용어를 이해함에 있어 큰 어려움이 없다. 이에 반해 아쉬운 점이라면 내지가 유광의 종이로 되어 있어 불빛 아래에서 보면 반사가 심해 글을
읽기가 좀 불편하다고 느껴진다. 책을 만들 때 고급스러움을 나타내기 위함이 아니었을까 추측은 되지만 되레 책읽기에 불편을 준 거 같다는
생각이다.
국내뿐 아니라 국외 경제상황에 대한 좋지 못한 소식들이 들려온다.
경제법칙을 아는 것이 경제상황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지는 모르겠지만 현실을 직시하는 데는 분명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학생들이나 경제에
관심을 갖는 일반인들에게 보다 쉽게 경제에 다가서는 데 좋은 책이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