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에듀 2016 - 2016 대한민국 교육계를 뒤흔들 13가지 트렌드
이병훈 교육연구소 지음 / 다산에듀 / 201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한민국은 입시공화국이라는 말이 있다. 좋은 대학에 입학하기 위해 어릴 적부터 입시 공부에 혈안이 되어 있다. 시험을 치러야 하는 수험생은 물론이거니와 이를 뒷바라지 하는 부모까지 어찌하면 자식이 좋은 대학에 들어가게 만들까 하는 고민들이 늘 따라다닌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어느 나라나 자식이 잘 되기를 바라는 부모의 심정이야 매한가지라 생각하니 그 또한 충분히 공감은 한다.


이런 고민들에 '이병훈교육연구소'가 2016년 교육 트렌드를 제시한다. 해마다 바뀌는 교육 정책들에 들썩이는 건 수험생과 학부모지만 시대적 흐름을 읽지 않고선 그나마 들썩이는 정도에서 어딘가로 휩쓸려갈지도 모를 일이다. 


《트렌드 에듀 2016》에서는 13가지 트렌드를 제시하고 있다. 책 목차에 있는 각 장의 제목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스티브 잡스처럼, 코딩교육
  2. 이제, 인성교육이다
  3. 자유학기제로 진로를 탐색하다
  4. 플립 러닝, 거꾸로 시킨 교육이 성공한다
  5. 황금빛 물결, 중국이 몰려온다
  6. 강남을 떠나 자연으로, 아날로그 교육법
  7. 수학이 달라지고 있다
  8. 영어 절대평가시대 따라잡기
  9. 강남은 지금 국어 열풍
  10. 고등학교가 대학 입시를 결정한다
  11. 내 아이가 갈 수 있는 최고의 대학
  12. 유학가지 않고 글로벌 리더 되기
  13. 사교육 무한도전


과거에는 이런 고민들이 있었나 싶을 정도지만 트렌드가 그렇다고 하니 뭐라 할 말이 없다. 요즘은 수험생 한 명 공부시키는 것이 국제 정세까지 파악하며 미래를 예견해야 하는 안목을 필요로 하는 것 같다. 대신 분명한 건 그만큼 체계적인 분석과 자신의 아이에 맞는 학습과 경험을 주어야 한다는 점이다. 누구나 좋은 성적을 거두고 훌륭한 인물이 되고 싶지만 각자에게 주어진 재능은 분명 다르다. 그것을 빨리 깨우치게 만드는 일이 교육이 해야 할 일이라 생각한다.


《트렌드 에듀 2016》을 보며 강남맘, 대치맘, 목동맘들은 정말 이럴까 하는 의구심이 생겨난다. 책에서 언급한 것처럼 대학입시는 중학교부터 결정된다는 말에 솔직히 이 책이 대한민국 내에 서열화를 부추기는 것 같아 무척 가슴 아프다. 실제로 어릴 적 공부 잘한 친구들 보다 농땡이로 살았던 친구들이 반평생을 살아가는 지금에는 훨씬 부와 여유를 갖고 살아가는 점도 간과해서는 안 될 일이라 여겨진다.


삶을 살아가는 데 정답은 없다. 다만 시대의 조류는 파악할 수 있어야 자신의 어떤 삶을 살아야 할지 고민할 수 있다는 건 분명한 사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