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베라는 남자
프레드릭 배크만 지음, 최민우 옮김 / 다산책방 / 2015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오베는 59세의 남자이고 남들이 보면 꽤나 괴팍한 성격의 소유자다. 무척이나 원칙론자이며 계획적인 삶을 살아간다. 그가 그런 삶을 살아온 건 천성적인 부분도 있겠지만 그렇다고 그의 심성이 나쁜 건 아니다.
오베는 사랑하는 아내가 있었다. 그리고 불의의 사고로 아내는 오베를 이 세상에 남겨두고 떠나버렸다. 오베에게는 크나큰 상실감이었고 삶의 목표를 잃은 것이나 다름 없었다. 그녀와 함께 했기 때문에 살아갈 수 있었는데 그런 버팀목이 사라지는 것은 얼마나 큰 상처겠는가. 오베는 자신을 두고 떠난 아내를 그리며 자살을 수차례 계획한다. 하지만 번번히 이웃들이나 고양이와 같은 환경적 이유로 계획은 수포가 된다. 그러면서 아내를 잃은 후 닫혀 있는 마음을 조금씩 열게 되고 변화되어 간다.
<오베라는 남자>를 읽는 동안 주인공 오베의 모습이 꼭 나랑 닮았다는 생각이 무척이나 들었다. 속내는 그렇지 않으면서 툴툴거리는 모습이나 원칙과 계획을 중시하는 모습 같은 점들은 흡사 거울을 보는 것 같아 잠시나마 얼굴이 화끈거리기도 했다. 이 책의 주인공 오베는 앞서 언급한 것처럼 타인과 그리 잘 어울리는 사람은 아니다. 묵묵히 자신의 일을 하는 사람이고 원칙과 규정을 중시하고 계획성 있게 살아가는 전형적인 남자의 모습이다. 그랬던 그에게 아내는 유일한 해방감을 맛볼 수 있는 창구였을 것이다. 유연한 생각으로 원론적인 모습의 오베를 감싸줄 있던 그녀가 그에게서 사라진다는 건 형용할 수 없는 아픔이며 삶의 의욕을 상실하게 되는 상황일 것이다. 그녀가 결국 오베나 다름 없으니 말이다. 세상이 밉고 억울한 부분도 있다. 특히나 소냐(오베의 아내)의 복직으로 오베가 애쓰는 장면에서는 참으로 가슴이 아프다. 힘 없는 소시민이기 때문에 자신이 그리 믿고 의지하는 법과 원칙도 소용 없음에 괴로워한다.
<오베라는 남자>는 조금은 코믹한 것 같으면서도 잔잔한 감동을 주는 드라마다. 솔직히 책을 읽는 내내 영화나 연극으로 만들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연극 대본을 쓰고 있는 지인에게 이 책을 선물하기도 했다.
따뜻한 감동을 느끼고 싶다면 이 책을 읽어보길 바란다.
나도 오베와 같이 묵직한 사랑을 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