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창의력만 훔쳐라
김광희 지음 / 넥서스BIZ / 2015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에게 일본은 워낙 독특한 물건이 많은 나라이고 창의력의 뛰어난 나라였다는 것을 기억한다. 한 때는 세계경제를 좌우하는 미국과 대등할 만큼 성장한 적도 있었다. 소니의 워크맨, 도요타의 캠리, 캐논 등 브랜드나 회사명만 대면 전 세계 누구라도 알만한 그런 나라다. 그런 저력이 있는 나라이지만 경제가 어려워지고 꽤나 긴 시간 동안 깊은 수렁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도 현실이다. 


더욱이 현재의 아베 총리가 이끌고 있는 정권은 극우세력에 가까울 정도이며 과거 자신들이 저지른 침략 만행에 대해 인정과 사과도 없이 꿋꿋이 낯짝을 들고 다닐 정도로 뻔뻔스럽기 그지 없다. 


일본이라는 나라는 우리에게 참으로 비교의 대상이자 경쟁 상대이고 영원한 숙적이다. 하다못해 친선으로 하는 축구나 야구 경기 한·일 전만 하더라도 혈안이 되어 어떻게든 이겨야 하는 상대이다. 뿌리 깊은 갈등은 우리 내면 깊숙히 자리하고 있다.


이런 일본에게 우리는 아직 배울 것이 있을까?

현재 경영학, 그 중에서 마케팅을 공부하고 있는 입장에서 일본은 분명 배워야 할 가치가 있는 나라다. 아니 굳이 경영학이니 마케팅이니 하지 않더라도 일본은 현재 우리가 겪고 있는 국가적 문제를 이미 수년 전부터 경험하고 있는 나라다 보니 우리에겐 아주 우수한 사례가 되어주는 나라다.


<일본의 창의력만 훔쳐라> 책 제목을 보면 창의력과 관련된 책이란 것을 곧장 알 수 있다. 솔직히 책 제목만 봤을 땐 일본의 다양하고 독특한 제품이나 상품들에 대한 이야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을 것이라 생각했다. 물론 그런 생각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았지만 직접적으로 창의력을 언급한 부분은 한 개의 Chapter에 지나지 않는다. 나머지는 일본이라는 나라를 고민하고 일본의 선례를 통해 우리나라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고민해 보는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2008년 미국발 세계 금융 위기로 전 세계가 휘청거렸다. 일본도 그 여파에서 벗어나진 못했다. 잘 나가던 전자대국 일본은 우리의 삼성에게 자리를 양보한지 꽤 지났다. 그래도 일본은 강하다. 휘청이고 무릎을 꿇었을지라도 다시 일어서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고 있다. 최근 엔화의 환율이 낮아지면서 관광 수요를 창출하고 수출을 늘리는 것들만 보아도 분명 옛 명성을 되찾는 수준에는 이를 것이라 여겨진다.


책 속에 담겨진 여러 가지 창의적인 사례들은 저자가 말한 것처럼 우리가 벤치마킹해도 좋을 것들이라 생각된다. 역시나 그들이 생각하는 의외성은 대단하다. 또 일본만의 독특한 문화 그리고 고령화를 넘어 초고령화 시대로 넘어가는 우리의 입장에서 일본이 이겨내 가는 과정을 우리는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라 생각한다.


책에 언급된 여러 사례들은 책을 통해 직접 보길 바란다. 특히나 경영학을 공부하는 교수, 학생, 연구원 그리고 기업의 현장에서도 두루 참고가 될 훌륭한 책이라 여겨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