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안해도 되는 직업
최혁준 지음 / 라임위시 / 2014년 7월
평점 :
품절


《일 안해도 되는 직업》이라는 책 제목을 보면 '정말 그런 게 있나?'라는 생각이 절로 든다. 여기서 자세히 봐야할 부분이 바로 "일 안해도"가 아니라 "직업"이라는 부분이다. 일을 하지 않는 직업, 다시 말해 일처럼 느껴지지 않는 직업이란 의미인 것이다.

사람은 각기 사회에서 제 몫을 하기 위해서 살아간다.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연령이 되면서 살아가면서 필요한 것들을 학습하게 되고 성인이 되면서 자기가 처한 현실에서 작게는 생존과 생계를 위해서이고 크게는 국가와 사회를 위해서 말이다. 

이에 필요한 것이 직업이고 직장이다. 직업과 직장은 결국 일을 해야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대부분의 사람들은 직업을 구하기 보다는 직장을 구하는데 혈안이 되어 있다. 자신의 적성과 특기는 무시된 채 돈을 많이 벌 수 있는 직장에 몇 년씩 재수, 삼수를 거듭하면서 말이다. 

저자가 말하는 일 안해도 되는 직업은 천직이다. 천직은 적성과 진로 그리고 사회적 가치가 한 데 어울어졌을 때 나오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특히 사회적 가치에 주안점을 두고 이 책을 쓰고 있다. 

책에 언급된 부분을 인용하면 
"사회적 가치의 지향점을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더불어 행복한 세상'을 추구하는 것이다. '나'만을 위한 삶이 아니라 '우리'를 먼저 생각하는 포괄적이고 방대한 개념을 담고 있다."<54쪽> 
라고 설명하며 이러한 사회적 가치를 가장 먼저 고려해 자신의 직업을 찾아야 한다고 이야기 하고 있다. 

직업을 구함에도 1순위로 사회적 가치를 꼽고 그 다음으로 적성, 경제적 가치로 정하였다고 한다. 그렇게 직업을 구하면서 '행복'을 찾을 수 있었다고 한다. 또한 천직을 찾은 클레이튼 커쇼, 한비아, 빌 게이츠를 소개하며 이들의 삶을 모델로 보여주며 사회적 가치의 중요성을 다시금 언급하고 있다.

책을 덮으며 오래 전부터 내가 하고 싶었던 이야기를 저자는 출간하였다는 사실에 무척 공감을 하면서도 내심 아쉬움도 있었다. 나 역시 지금의 직업을 구하기까지 오랜 시간을 방황했고 고민해본터라 그 결론에는 저자와 같은 생각을 가지고 있다. 지금도 누구든 만나면 돈 보다 적성을 찾으라고 하고 그에 우선해서 자신이 진정으로 하고 싶은 일 그리고 보람된 일을 하라고 말하고 있다.(진작 책으로 쓰고 싶었지만 지금에 와서 후회한들 무엇하겠는가.)

혹시 지금 자신의 직업과 직장을 고민하고 있는 사람이 있다면 이 책을 읽고 자신을 깊이 있게 바라볼 수 있는 기회가 생기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