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이 제갈량에게 말하다 1 - 탁월한 전략으로 승리를 추구하다 현대 심리학으로 읽는 《삼국지》 인물 열전
천위안 지음, 정주은 옮김 / 리드리드출판(한국능률협회)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갈량, 세상이 원하다

<삼국지>를 전반과 후반으로 나눈다면 바로 제갈량의 등장으로 구분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유비의 휘하에 있던 서서가 조조에게 가면서 그는 동문수학했던 제갈량을 유비에게 천거합니다. 유비에게 관우나 장비 같은 무인들은 있었지만 뛰어난 책사가 없다는 건 분명하였습니다. 서서를 책사로 두면서 유비가 전투에서 승리를 거둔 경험은 책사의 중요성을 일깨우고 배우게 된 매우 소중한 경험입니다. 유비는 훌륭한 인재에 대한 갈증이 있었고 여기에 제갈량 역시 자신이 난세에 뛰어들 타이밍을 파악하고 준비하고 있었습니다.

삼고초려라는 고사성어의 주인공의 등장이 바로 이 부분입니다. 제갈량은 자신의 몸값 부풀리기를 위한 노력을 한 것으로 보입니다. 요즘도 그러하겠지만 인재를 영입하기 위한 혹은 일자리를 얻기 위해서는 이러한 줄다리기는 필요하다고 봅니다. 다만 아무나 이런 걸 할 수는 없겠지요. 뛰어난 능력이나 정말 훌륭한 주변인의 지지와 천거가 있어야 합니다. 또한 이건 시기가 맞아야 가능한 일입니다. 꽤 오랫동안 제대로 된 주군을 만나지 못했던 제갈량이 자신의 능력을 펼칠 수 있는 때를 기다린 것도 대단히 중요한 부분이라 하겠습니다.

제갈량, 때를 알고 나서다

유비군의 책사로 활동을 시작한 제갈량은 적은 군사를 가지고도 조조와 싸워 연승을 이어갑니다. 그의 뛰어난 능력 때문일 겁니다. 그러한 능력을 쌓기까지는 꽤 긴 시간 노력을 해왔을 겁니다. 세상에 공짜는 없으니까요.

제갈량, 진가를 선보이다

조조의 대군을 맞아 상대하기엔 유비군의 전력은 약했습니다. 본거지가 없이 다른 제후들에게 몸을 의탁하던 처지에서 조조의 공격을 회피할 방법은 제갈량이 제안하는 것과 같이 동오와 협력으로 위기를 모면하는 것이 가장 최선이었을 겁니다. 하지만 현대전에도 그렇듯 제3자가 남의 싸움에 끼어들어드는 건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당장 자국의 이해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지요. 동오의 손권이 유비와 조조의 싸움에 끼어들게 된 건 순전히 제갈량의 능력으로 봅니다. 더구나 결정장애가 있는 손권에게 전쟁을 선포하게 만든 건 주유의 결심 덕분이기도 하고요. 주유를 부추기게 되는 건 제갈량의 처세였습니다. 주유와 제갈량의 갈등이 여기서부터 시작됩니다. 젊고 능력있는 주유는 제갈량에게 시기심이 무척 커지게 됩니다. 스스로 잘난 사람이라 생각하는 이들의 자존심 같은 것이겠지요.

여하튼 유비와 손권의 연합군은 조조를 적벽에서 대승을 거둡니다.

제갈량, 승부수를 던지다

유비와 손권의 연합군은 조조를 적벽에서 이기지만 실제로 동오는 얻는 것이 없습니다. 전쟁만 치뤘을 뿐이고 영토 확장을 하지 못합니다. 이에 주유는 유비가 점령하고 있는 형주땅을 요구합니다. 전리품을 나눠갖자는 거죠. 하지만 제갈량이 이를 모를 리 없습니다. 되레 주유의 계략을 역이용해 주유를 죽게 만듭니다.

<심리학이 제갈량에게 말하다 1>은 제갈량이 유비를 만나고 주유와 적벽대전을 치루고 주유의 죽음까지 가는 과정 중에 제갈량이 행한 모습을 담고 있습니다.

<삼국지연의>를 읽으며 내심 조조를 공공의 적으로 인식하는 이들에게는 가장 통쾌한 장면 중에 하나이기도 하고, 제갈량의 뛰어난 능력을 볼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제갈량이 수많은 전쟁을 지휘하지만 이 부분에서 만큼은 거의 홀로 활동을 합니다. 그의 뛰어난 선견지명을 볼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고요.

다만 그 역시 신은 아니었기에 갈등도 있고 다소 미흡한 부분도 있습니다. 현대 심리학으로 보는 제갈량과 당시의 모습을 비춰보면서 특히나 직장인으로 살아가는 이들이 반면교사 할 부분이 많지 않나 싶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