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로 배우는 불멸의 역사 - 연금술사에서 사이보그까지, 인류는 어떻게 불멸에 도전하는가 한빛비즈 교양툰 19
브누아 시마 지음, 필리프 베르코비치 그림, 김모 옮김, 홍성욱 감수 / 한빛비즈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트랜스휴머니즘

과학기술을 통해 인간의 한계를 넘으려는 지적 운동을 트랜스휴머니즘이라 한다. 정의로 이해하려면 좀 어렵다. 쉽게 말하자면 인간이 영생을 위한 노력이라고 하면 이해가 쉬울 것 같다.

생(生)과 사(死)는 인간뿐 아니라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에게 동일하게 주어진 조건이다. 하지만 인간은 오래 전부터 이런 주어진 운명을 거스르기 위한 노력을 꾸준히 진행해왔다. 메소포타미아 전설에 등장하는 영웅 길가메시는 불멸의 역사에서 가장 오래된 인물로 기원전 3세기 후반에 태어난 반신반인이자 우루크의 왕이었던 그는 친구 엔키두의 목숨을 구하려고 불멸의 약을 찾아 떠나지만 소득 없이 돌아왔다. 인더스강 근처에서는 영원한 삶을 약속하는 신의 음료 '소마'가 유명했다.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넥타르나 암브로시아처럼 말이다. 중국을 처음 통일한 진시황은 자신의 불로장생을 위해 도사 서복을 동쪽 바다로 보내 신선이 먹는 영약을 찾고자 했다.


불로장생을 위한 과학기술의 발전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컴퓨터나 인터넷, 스마트폰, 인공지능(AI) 등의 과학기술은 낯설지가 않다. 세상을 살아가는 주변의 삶이 이같은 과학기술로 어우러져 있기에 당연하게 느껴질 정도다. 이런 과학기술의 발전의 근간이 바로 불로장생이라는 인간의 영원한 생존 욕구 때문이었다는 건 꽤 놀라운 일이다. 이 책 《만화로 배우는 불멸의 역사》가 바로 이런 인간의 불멸을 향한 노력의 과정을 정리해 놓은 책이라 보면 된다.

가장 오래된 화학이 연금술이라 보이는 데 이것도 금을 만들기 위해서라고도 하지만 실제로는 인간의 육체와 영혼을 분리하는 것을 이루기 위함었다고 한다. 육체만 다시 찾을 수 있다면 영혼을 옮기는 것으로 인간은 영원히 살 수 있다는 생각을 했다는 것이다.

영원한 삶을 떠올리니 내 또래들에게는 익숙한 일본 애니메이션 《은하철도999 銀河鉄道999》가 떠오른다. 기계인간으로 영원한 삶을 찾기 위해 은하철도999를 타고 떠나는 테츠로(철이)와 메텔의 여정을 그린 작품은 어린 시절에 봤을 땐 그 의미를 몰랐지만 지금에서 다시 보면 무척이나 철학적인 작품이었다고 느껴진다. 여기에 등장하는 기계인간은 오랜 시간 인간이 꿈꾸던 영생의 모습이라 하겠다. 1251년 독일의 유명인사인 알베르투스 마그누스는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인간 복제를 하였고, 이를 '휴머노이드'라 불렀다고 한다. 이후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로봇의 진짜 조상을 완성했다.

이뿐 아니라 생물시간에 배웠던 우생학도 그 바탕에는 우성 유전자를 가진 인간으로 인구 증가를 꿈꾼 학문이다. 1939년부터 1945년까지 2차 세계대전으로 유대인 학살 같은 부작용이 있던 학문이지만 말이다.

의학, 인공지능, 로봇 등 다양한 과학기술은 인간의 불멸을 위해 발전을 거듭했다고 보여진다.


죽음을 거스를 수 있을까?

태어남과 동시에 인간은 성장이라는 명목으로 노화를 진행한다. 늙어간다는 건 결국 죽음을 향해 가는 것이다. 세상 어느 누구도 죽음을 원하는 이는 없을 거다. 말 그대로 불로장생, 무병장수는 아직 꿈 같은 이야기지만 수많은 사람들이 이런 꿈을 실현시키기 위해 노력 중이다. 수 백년 전에 비해 의료기술의 발전으로 평균수명이 거의 2배 이상 증가된 것도 이를 방증하는 것이다. 우주로 나가려는 것도 지구의 오염과 기상이변과 같은 상황이 발생할 때 지구를 떠나 새로운 별에 정착하기 위한 과정이다. 이러한 트랜스휴머니즘은 지금의 인류의 모습을 만들어 가고 있다. 앞으로 얼마나 더 발전할지는 지금으로선 감히 상상하기 어렵다. 다만 불멸을 위한 인간의 집념은 죽지 않고 영원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