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력의 유전자 - 협력과 배신, 그리고 진화에 관한 모든 이야기
니컬라 라이하니 지음, 김정아 옮김, 장이권 감수 / 한빛비즈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보다 우리를 먼저 생각하게 하려면?

저자의 말을 빌리자면 인간의 본성인 사회성이 우리를 팬데믹으로 이끌었다. 하지만 여기서 벗어날 유일한 길도 사회성에 있다. 사회성이란 단어에는 '협력'이란 행위가 품어져 있다.

협력은 호모 사피엔스가 지닌 막강한 힘이다. 우리가 지구의 거의 모든 환경에서 번성한 요인이다. 웬만한 개체는 다른 개체를 돕지 않는다. 하지만 드물게 협력을 멈추지 않는 예외 종이 있다. 그리고 어찌 된 일인지 지구에서 눈에 띄게 번성한 종들이 바로 그런 종이다. 우리 인간도 그중 하나다.

물론 협력을 이야기하려면 달갑지 않은 부작용도 인정해야 한다. 협력은 집합체를 착취해 제 잇속을 챙기는 사기꾼과 무임승차자가 이용하기 쉬운 먹잇감이다.

협력은 인류 역사의 한 부분이다. 팬데믹이 발생했고 협력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 지구에서 함께 살아가는 수십억 명이 공공의 이익을 위해 개인의 이익을 희생하게 하려면, '나'보다 '우리'를 먼저 생각하게 하려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협력의 단계별 진화

《협력의 유전자》에서 1부는 개체의 진화를 다룬다. 우리 몸속의 유전자와 세포가 어떻게 협력해 생명체를 형성하는지를 살펴본다.

2부는 가족의 진화다. 대가족을 이루는 다른 종과 인간의 공통점이 무엇인지, 또 인간에게 가족이라는 제도의 특성이 발생됐는지를 알아본다.

3부는 타인과의 협력이다. 왜 우리가 때로 가족이 아닌 타인한테까지 도움을 베푸는지 알아본다.

4부는 사회의 진화다. 유인원에게 물려받은 특성을 확인하고 우리는 그들과 왜, 어떻게 이토록 달라졌는지를 묻는다. 우리 심리에 큰 영향을 미친 상호의존성 덕분에 우리는 어느 때보다 굳건한 협력을 이뤄냈다. 하지만 뜻하지 않게 병리 증상을 일으키는 사회적 비교와 피해 망상에 노출되기도 했다.


협력, 어떻게 쓸 것인가?

협력을 더 가까운 관계로 먼저 확장할지, 모든 사람과 더 평등하게 나눌지를 좌우하는 도덕적 배려의 범위는 국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문화 차이에 따른 이런 양상을 집단주의와 보편주의의 차이로 설명하기도 한다. 중국, 일본, 한국 같은 집단주의 사회는 주로 가족을 중심으로 도덕적 배려의 범위가 형성된다. 그런 사회에서는 친교 범위가 비교적 좁지만 내부 유대가 굉장히 끈끈하고 서로 무척 의지하며 살아간다. 보편주의 사회, 이를테면 서유럽의 여러 나라와 미국에서는 사람들이 더 먼 관계를 포함하는 커다란 사회관계망을 쌓곤 하지만 가까운 가족에게 느끼는 도덕적 의무는 그만큼 더 약하게 느낀다. 지구 내에서도 각기 다른 지역과 문화에서 살아가면서 각기 느끼는 협력의 정도와 감동이 다르다는 걸 느낄 수 있다.

인류에게는 생존을 위한 수많은 과제가 주어지고 있다. 개인이 감당할 수 없는 문제들이 수도 없기에 우리는 협력을 한다. 다행히 인간에게 주어진 상호의존의 본능이 협력이란 방식으로 표현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그동안 수 세기에 걸쳐 인류가 진화해왔던 것도 협력에 따른 것이다. 다만 가끔은 협력이 더 크고 복잡한 집단이 진화하도록 돕기는커녕 오히려 가로막을 때도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직장에서는 구성원들이 협력을 통해 우수한 결과와 멋진 성과를 만들어내길 바란다. 실제로 직장이란 조직 속에서 개인의 역할만으로 성과가 나오는 것은 쉽지 않다. 부서나 팀이란 세부 조직을 구성해서 운영하는 것이 바로 미션을 수행하기 위한 협력 수단이라 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구성원들의 이익을 위해 조직 전체에 손실을 입히는 파업이나 태업과 같은 행위도 피할 수 없다.

잠시나마 잊고 있던 협력의 유전자를 어떻게 이용할지 한 번쯤 고민해 볼 시기가 아닐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