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근길 인문학 수업 : 뉴노멀 - 대전환의 시대, 새로운 표준에 대한 인문학적 사고 퇴근길 인문학 수업
김경미 외 지음, 백상경제연구원 엮음 / 한빛비즈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몇 해 전부터 강연 시청이 보편화되었다. <TED>나 <세바시> 같은 국내·외의 다양한 강연 프로그램들이 성행하면서 개인들의 삶에 자극제가 되는 동시에 다양한 정보를 취할 수 있는 채널로써 역할을 톡톡히 해왔다. 이런 강연 프로그램으로 인해 주목받은 분야가 인문학이다. 이른바 문사철(문학, 사학, 철학)로 대변되는 인문학은 사회가 각박해질수록 더욱 인간 본성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고 본연의 모습을 찾는데 적절한 가르침이 되는 것이기에 많은 이들이 관심을 갖고 공부를 하게 된다.

2020년은 개인뿐 아니라 전 세계인 모두에게 삶의 전환점이 되는 해가 아닌가 싶다. '코로나19'는 우리가 살아가던 방식을 순식간에 바꾸는 데 기여했다. 비대면 혹은 언택트라고 하는 사회를 조성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우리의 삶은 4차 산업혁명이란 소용돌이에 빠져들어 정신을 차리기 바쁜 순간에 새롭게 직면하게 된 변화를 '뉴노멀'이라는 이름으로 수용 요구받게 되었다.

이 책 『퇴근길 인문학 수업: 뉴노멀』은 코로나19 이후의 세상을 '뉴노멀'이란 키워드 아래 맞이 해야 할 우리의 모습을 조명하고 있다. 첫 번째 '기술과 행복' 카테고리에서는 초연결 사회에서 디지털 기술이 인간에게 가져다주는 의미와 4차 산업혁명이 몰고 온 변화상과 미래의 모습을 들여다본다. 두 번째 '우리의 삶'에서는 지구의 기원과 생명의 진화를 조망하고, 한반도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강대국의 이해관계를 이해할 수 있는 주제와 길어진 노년을 대비하면서 행복한 인생을 준비하기 위한 가치관과 태도를 알아본다. 마지막으로 '생각의 전환'에서는 프랑스 혁명사를 되돌아보면서 자유와 평등의 원칙을 되새기고, 인권감수성의 의미를 확인해본다. 아울러 조선 선비들이 더 큰 뜻을 실현하기 위해 세대 간의 격차를 줄여나간 사례를 살펴 노년의 연륜과 청년의 열정이 시너지로 바뀌는 지혜를 엿본다.

시대의 변화에는 단편적인 변화만 있을 수는 없다. 과학과 기술이 발전하고 삶의 방식이 변화하면 그에 따라 인간의 사고나 행동도 변해왔다. 앞으로 우리에게 닥칠 멀지 않은 미래를 보다 부드럽게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미리 변화를 예측하고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퇴근길 인문학 수업』을 통해 매일 짧은 강의를 듣노라면 분명 우리의 고민을 해결하는 데 큰 역할을 해줄 거라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