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겟티드 - 당신이 누른 ‘좋아요’는 어떻게 당신을 조종하는가
브리태니 카이저 지음, 고영태 옮김 / 한빛비즈 / 2020년 4월
평점 :
절판


민주주의의 선도국인 미국에서 여론조작이 있었다면 누구나 '설마 그럴리가'라는 말을 내뱉을 거다. 그런데 실제로 그런 것이 존재했다. 『타겟티드』의 저자 브리태니 카이저는 자신이 근무했던 영국의 데이터 분석 기업인 케임브리지 애널리티카가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도널드 트럼프를 대통령으로 뽑히는 데 주요한 역할을 했다고 한다. 말 그대로 내부고발자다.

우리나라 역시 매번 대선을 거치며 여론조작, 가짜뉴스, 댓글공작 등의 키워드들은 뉴스의 정치면을 늘상 채워왔다. 대한민국 19대 대통령과 그 정부가 출범한 후에도 한동안은 여전했고 지금도 그 문제들에 대한 진실과 처벌은 진행형이다.

여론조작 혹은 대의를 핑계로 국민 자유를 침해하고 개인 정보를 수집하는 등의 불법적인 행위를 한 것에 대한 내부고발은 지속적으로 있었다. 몇 해 전 보았던 영화 <스노든> 역시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로 기억된다.

문제는 개인의 데이터들이다. 저자가 말하는 것처럼 우리가 쉽게 누르는 '좋아요'에서 피부색, 정치성향, 성적 취향, 이혼 가정 출신 등 다양한 정보를 예측할 수 있다고 한다. 빅 데이터를 수집하고 해석하여 가공하고 원하는 정보를 끄집어낼 수 있다는 건, 한편으로 사람들의 심리까지도 조종할 수 있다는 것이다. 미국 대통령 선거와 브렉시트가 결과적으로 그랬다고 하니 그 위력의 섬짓함과 정보력의 중요성을 다시금 깨닫게 된다.

저자는 맺음말로 개인 정보 보호에 대해 역설한다. 규제받지 않고 추적할 수 없는 데이터의 흐름이 존재하고 있고, 밖으로 빠져나간 뒤에는 되돌려 받을 수 없기에 이를 보호할 수 있는 법과 규정 그리고 기술적 해법에 투자가 필요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