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넥트 파워 - 초연결 세상은 비즈니스 판도를 어떻게 바꾸는가?
박명규 외 지음 / 포르체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계경제포럼의 창시자이자 회장인 클라우스 슈밥은 인공지능, 로봇공항, 사물인터넷, 자율 주행 자동차, 나노 기술, 생명 공학 등이 이끌 비약적인 발전, 융합과 혁신을 '4차 산업혁명'이라는 말로 개념화했다.

이미 우리는 많은 이들과 언론 등을 통해 귀에 딱지가 앉도록 그 무시무시한 4차 산업혁명을 받아들일 준비를 해야 한다고 강요를 받고 있다. 덕분에 자의든 타의든 4차 산업혁명의 파도를 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할지도 모른 채 현실 속의 삶을 살아가고 있는 것은 아닐까.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사회는 #공유 #상생 #협력 #소통 #플랫폼 이 정도의 단어들이 떠오를 것이다. 따지고 보면 이미 우리의 일상에 깊이 들어와 있다. 10여 년 전부터 빅데이터의 시대를 준비해야 한다는 말은 수없이 반복되어 왔다. 이제는 빅데이터를 넘어서 가공의 주체가 인간이 아닌 인공지능에게 기회를 선사하는 시대로 곧장 달려가고 있는 것이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경계가 무너지고 있다. 온라이프(onlife)화로 일과 삶의 연결 방식이 변화하고 있다. 디지털화된 개인주의와 사회적 네트워크가 공존하는 초연결의 세상이다. 이러한 세상에는 스마트폰이 기여했다는 점에는 무척이나 공감한다. 따지고보면 작고한 스티브 잡스의 위대한 업적일 게다.

우리가 초연결 사회를 준비해야 하는 것은 앞서 언급한 공유, 상생, 협력, 소통, 플랫폼이란 단어에 모든 것이 함축되어 있다. 비대칭적 정보를 가진 개인이나 집단이 정보를 권력으로 이용해 위계를 가진 기존 조직 체계는 정보가 산재되고 공유되는 앞으로의 사회에서는 적합한 조직 모델이 될 수 없을 것이다. 조직은 보다 특화하고 세분화하며 외형적 크기의 확장에서 벗어나야 한다. 또한 서열화를 탈피해야 한다. 긱 이코노미(gic economy) 혹은 긱 워크(gic work)라고 부르는 업무 방식은 조직을 필요에 의해 결합과 해체를 용이하게 만들어 비용을 최소화하고 성과를 극대화하는 데 기여하는 모델로 자리를 잡을 것이라 본다.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변화된 미래는 남의 이야기는 아닐 것이다. 변화를 준비하지 않으면 퇴보할 수밖에 없다. 급변하는 사회에서 제자리 걸음만 하면 어느샌가 하늘을 보며 한숨만 내쉬어야 되지 않겠나. 생각을 바꾸고 오픈 마인드하여 미래를 준비해야 할 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