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계사를 바꾼 12가지 신소재 - 문명의 기반이 된 '철'부터 미래를 이끌 '메타물질'까지!
사토 겐타로 지음, 송은애 옮김 / 북라이프 / 2019년 6월
평점 :
인류의 역사는 무엇으로 구분되는가?라는 질문을 한다면 국사나 세계사 수업에서 배웠듯 석기, 청동기, 철기로 대답할 것이다. 도구의 사용은 그 시대를 구분하는 기준이 되어왔다. 이는 이 책에서 언급하듯이 도구를 만들 수 있는 재료가 발견되고 사용되기 시작했기 때문에 가능했다. 지금도 우리는 철기시대를 살고 있다. 물론 지금은 철뿐만 아니라 수많은 소재들이 발견되어 철기시대라고 구분하는 것도 애매모호하지 않을까 싶다.
《세계사를 바꾼 12가지 신소재》에서 저자는 인류에게 공헌을 한 12가지 재료를 소개한다. 금, 도자기, 콜라겐, 철, 종이(셀룰로스), 탄산칼슘, 비단(피브로인), 고무(폴리아이소프렌), 자석, 알루미늄, 플라스틱, 실리콘이 그것이다. 인류사를 빗대어보면 충분히 설득력 있는 소재들이다. 이들의 발견이나 사용이 없었다면 인류의 역사가 지금처럼 발전되었을까 싶다. 이미 우리가 인지하고 있는 소재도 있고, 간과하고 있다가 재인식하게 된 재료들도 있다.
저자는 역사를 공부한 사람은 아니다. 그래서 지금까지 우리가 알고 있는 역사적 사건 위주의 나열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각으로 우리의 세계사를 볼 수 있었다고 본다. 오늘도 많은 사람들이 인류의 혁명적인 도약을 위해 수많은 노력을 하고 있을 것이다. 일상에 깊게 뿌리내려 잊혀진 다양한 재료들이 우리에게 어떤 존재인지 새삼 깨닫는 시간이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