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의 신 - 1인 크리에이터들의 롤모델 대도서관이 들려주는 억대 연봉 유튜버 이야기
나동현(대도서관) 지음 / 비즈니스북스 / 201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온라인과 모바일의 발달은 전 세계인들을 소셜미디어에 빠져 들게 하였다. 그들이 사용하던 미디어의 형태는 텍스트에서 사진으로 그리고 영상으로 점차 진화했고, 그 덕분에 이것을 주로 이용하는 채널도 변화해가고 있다.

요즘 10대라 불리는 Z세대는 온라인 접속을 할때 처음 접속하는 곳이 유튜브라고 할 정도로 영상에 익숙한 세대다. 텍스트와 사진에 익숙하지만 짧은 영상에서 그들은 더 수월하게 보고 듣고 느낀다. 이러한 현실 덕분에 1인 미디어 플랫폼을 운영하는 유튜브나 아프리카TV 같은 곳은 더욱 사업을 키워가고 있다. 또한 1인 미디어이자 크리에이터로 활동하려는 사람들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

<유튜브의 신>의 저자 '대도서관'은 1인 미디어 활동이 활성화 되지 않았을 때부터 시작한 사람이다. 처음부터 영상을 잘 만들지는 않았지만 그가 살아왔던 과거의 삶에서 그의 재능을 1인 크리에이터로 도전했고 지금에 이르러 1년에 17억을 번다는 사람이 되었다.

대도서관이 말하는 유튜브의 성공 비결은 간단하다. "생방송 말고 편집 방송으로 시작하되, 내가 관심 있고 잘할 수 있는 분야를 지속가능한 콘셉트로 기획해 일주일에 최소 두 편씩 1년간 꾸준히 업로드하라!'다. 그가 말하듯이 이 말은 무척 간단하다. 하지만 실행으로 옮기는 건 결코 쉬운 일이 아님을 최소한 한두 번 업로드 해본 사람이라면 느낄 것이다.

유튜버로 수익을 얻기 위해 광고 수익을 얻기 위해서는 '구독자수 1000명 이상, 지난 12개월 동안 4000시간 구독'이라는 조건을 만족해야 한단다. 어지간한 영상 몇 편 올려서는 광고 수익을 기대하긴 어려울 거다. 그러니 앞서 말한 관심있고 잘하는 분야, 지속가능한 콘셉트의 기획, 꾸준한 업로드의 세 가지 조건을 이룰 수 있는가를 스스로 검토해 봐야 할 것이다.

국가적으로 일자리 비대칭에 대한 대안을 창업에서 찾고 있다. 나 역시 어설프게 안 맞는 직장생활을 하느니 창업을 장려하는 게 더 맞다는 생각이다. 온라인 세상 덕분에 창업의 길도 한층 다채로워졌다. 유튜버로 사는 사람들도 최근에는 많아졌고, 연예인 못지 않은 인기를 누린다. 잘 버는 사람은 대도서관 만큼이야 안 되겠지만 그래도 밥벌이는 하는 듯하다. 창업에 들어가는 초기 비용도 저렴하니 이만한 사업 형태도 없다. 이 책에서 소개된 1인 크리에이터로 활동하는 법도 꼭 참고하면 좋을 내용들이다.

허나 세상은 그리 호락하지 않다. 저자는 자신의 길이 레드오션이기는 하나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고 자신과 같은 사례가 나올 수 있다고 한다. 물론 가능하다. 다만 일시적인 유행에 휘둘려 자신이 무엇을 하고 싶고, 잘 하는지를 먼저 판단해야 할 것이다.

어떤 사람은 블로그가 맞고 또 어떤 이는 유튜브가 맞다. 세상에는 단정해서 꼭 맞고 틀린 것이 없다. 트랜드가 변화하는 건 시류다. 따라 가는 사람도 있는 반면 뒤쳐지는 사람도 있다. 수많은 연예인 지망생들이 모두 연예인이 될 수는 없다. 도전은 하되 긴 안목을 가지고, 내 것이라는 확신으로 노력해보고 아니다고 싶으면 빨리 갈아 탈 수 있는 용기가 필요하지 않나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