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공지영 지음 / 푸른숲 / 2005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공지영 소설을 처음 읽어보고 이 리뷰를 쓰는 정도라면 

나의 수준이며 배경이 어느 정도 짐작이 될 거 같다.. ㅡㅡ 

 이 유명하다는 소설을 이제야 읽게 되었고 영화화 되었다는 것도 

비로소 알게 되다니..  암튼 올해 영화로 봤던 슬럼독 밀리어네어가 많이 

오버랩 되더라는 초기소감이다. 

신은 존재하는가.. 

존재한다면 이 세상의 모든 불공평과 불평등... 너무 잔인하지 않은가? 

그 혼돈속에서도 우리가 인간의 지식과 지능으로 알 수 없는 좀 더 아니 

훨씬 고차원의 논리와 형평성 법칙이 존재한다고 하니 (그래서 신이지 않는가..) 

그것을 "믿어"볼 수 밖에.. 

일단 책을 읽으며 자꾸 제목을 되뇌어보게 된다.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처음엔 우리들이 (또는 기득권자들이) 이렇게 행복하게 보내고 있는 동안, 

우리가 "모르는" 세상에선 그 반대의 일들이 처절하게 벌어지고 있다는.. 

더 읽다보니.. 어.. 그렇다고 내가 행복한 사람인가? 라는 질문에.. 

 아니라고 부정만 해 왔던 내 자신에 대한 부끄러움,, 

 그래.. 나의 시간들은 철저히 "상대적으로" 행복한 시간들이었구나 하는.. 

하지만 책을 다 읽고 난 맨마지막에는.. 

객관적으로 행복해 보이는 사람들속에서는 주관적으로는 불행한 사람들. 

객관적으로도 불행할 수 밖에 없으니 주관적으로는 그것을 극복하는 사람들. 

객관적으로 절망적이고 스스로에게도 삶과 죽음이 특별한 의미가 없는 사람들. 

이 모든 사람들에게도, 살아있는 자체가 "행복한 시간" 이란 메세지가 느껴진다. 

  

작가 내지는 소설속 화자는 진부한 게 싫다고 했지만 

솔직히 소재는 대략 진부함을 벗어나지 않는다고 보았다. 

하지만 철저한 취재와, 동일연령세대의 아픔과 모순을에의 처절한 공감을 통해 

대화라인들속에 숨어있는 생각들 - "진짜 이야기"들이 신선함을 준다. 

  

솔직히 한국현대소설들을 읽으면 대책 없는 문제의식만 제기되는 듯 하여 

기분만 우울해지고.. 웬지 세상을 한 뼘 더 안 듯 하지만 그만큼 더 무기력해지는 거 

같아 별로 즐기지 않는 편이었다..  

 

식상하고 진부한 소재 가운데서도 관심과 열정과 노력으로 재구성된 

우리 사회의 단면들이... 그렇게 재조명되고 다시 한 번 조명을 받게 된다는 것.  

그런 역할만으로도 국내작가들의 위치가 소중하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