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AB형 자기설명서
쟈메쟈메 지음, 윤성규 옮김 / 지식여행 / 2008년 8월
평점 :
음, 책은 동생을 좀 더 이해해보기 위해서 보게 되었다. 나는 가끔 동생이 너무 어렵다. 막내동생은 그답게 알기 쉬운데, 둘째는 전혀 그렇지 않다. 친하긴 하지만 속을 알 수 없는 그대 정도일까.
굳이 따져 들어가면 우리집은 ABO형 모두 있다. 식구들 다 성격이 비슷하기도 해서-가족을 위한다거나, 전화통화는 40초이상이라거나, 비슷한 것을 즐기고 존중할 줄 안다. 그렇기 때문에 혈액형으로 성격을 잰다는 건 기분이 썩 좋지 않다. 도대체 O형은 누구랑 더 친하고, A형은 어떻고... 좋지 않다.
그러고 보니 초등학생때 동생은 '우리 반에 두개는 나 밖에 없어!!' 하면서 집으로 달려왔더랬다. 귀를 뚫어 혈액형 검사를 하고 손목인가 혈액형을 적어줬던 것 같은데.. 그 반에서 유일하게 동생만 AB형이었던 것이다.(그래서 두개다. 알파벳 두 개) 그때부터 좀 별나던 동생이었다. 진작 알았어야 했는데.
책은 AB의 자기/행동, 타인에 대한, 경향/취미/특기, 일/공부/연애, 문제, 기억/일상 등 다각도로 소개하고 있다. 나의 AB형 이미지는 천재아니면 바보라며, 괴팍하고 종잡을 수 없는 행동과 성격으로 어림짐작으로 맞춰보며 읽었다.
체크리스트 형식에 짧은 문장으로 엮어져 있는데 두 가지가 신경쓰인다. 하나는 체크하다보니 정작 동생의 성격으로는 별로 체크할 것이 없다는 것, 다른 하나는 체크하다보니 나름 나와 비슷한 성격들이나 특성들이 보인다는 점. 그렇다면 내가 싸이코인가!!!(왠지 이런 기분이 들었다.)
책 끝부분을 보면 이 책이 AB형의 모든 것이다 하는 말은 없다. 이 문장을 보고 무책임 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었지만, 사람을 첫 대면할 때 이런 반응을 보인다면- 보편적인 혈액형성격으로 이렇게 저렇게 대할 수 있는 처세가 생길 수 있겠다 싶었다.
혈액형 어쩌고 저쩌고 하는 것들은 꽤 유행했다. 심하게. 그러다가 일본에서 만들어졌고 그 어떤 나라도 혈액형으로 사람을 나누지 않는다 하는 말이 나오자 혈액형 이야기는 급속하게 수그러 들었다. 이런 시점에서... 사실 이 책의 저자가 아주 궁금하다. Jamais Jamais는 본명도 아니고, 소개도 없다. 뭐하는 사람인지...
★ Eunyo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