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주 이상한 수학책 - 그림, 게임, 퍼즐로 즐기는 재미있는 두뇌 게임 75¼
벤 올린 지음, 강세중 옮김 / 북라이프 / 2024년 2월
평점 :
아이의 수학 지도를 위해 재미있는 책을 만났다. 이 책은 이미 초등학생 사이에서 수많은 팬을 보유하고 있는 시리즈 책이다. 나도 아주 이상한 수학책을 만나기 전에 도서관에서 이상한 수학책과 더 이상한 수학책을 빌려 보았다. 학부모들 사이에서 입소문으로 먼저 들었다. 이 책은 수학이라는 학문적 지식을 포함하지만 수학을 놀이로 접근하는 재미있는 책이다. 아직 미취학인 우리 아이의 수학 지도를 위해서 어떻게 접근을 해야 하나 부모로서 항상 고민을 하고 있다. 그중 내가 찾은 방법 중의 하나가 바로 게임이다. 벌써 많은 종류의 보드게임을 보유하고 있다. 아이와 함께 보드게임을 하면서 사고력도 향상하고 연산도 자연스럽게 하고 있는데 이 책이 바로 나의 마음과 나의 지도의 방향을 알려주는듯하다. 아직 수학이라는 학문에 접근하기에 놀이를 통해 아이의 학습 시작을 해 주고 싶은 마음이 있다. 이미 초등학생뿐만 아니라 학부모에게 인기가 있는 도서이고 이 책은 일상 속 수학 개념들을 놀이 게임으로 접근하다보니 너무 읽고 싶었다.
대부분 수학에 큰 관심이 없는 학생도 수능이나 시험을 보기 위해 수학을 접근한다. 놀이로부터 수학을 시작한다면 좀 더 자연스럽게 수학을 받아들일 수 있다. 이 책은 아직 우리 아이에게 보여 주고 모든 놀이를 시작해보기는 어려운 책이지만 부모인 내가 먼저이 책을 읽고 게임을 따라 해서 아이에게 접근해 준다면 아이도 매우 흥미로워 하게된다. 그래서인지 더욱 책을 꼼꼼히 읽게 된다. 책은 하드커버이고 두께가 꽤 있는 도서이다. 하지만 읽을수록 빠져 들어가는 즐거운 묘미가 있다. 책의 도입부 역시 수수께끼로 시작을 한다. 그래서 정말 흥미롭고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나중에 우리 아이도 스스로 이 책을 읽어 보면 얼마나 재미있을까 하는 상상을 해 본다. 내가 가지고 있는 보드게임 중 하나가 set인데 책에 세트에 대한 게임 방법과 활용도 그리고 확장부분이 나와 있어 너무 반가웠다. 아이에게 설명해 주고 싶은 큐브도 있어 인트로 역시 꼼꼼히 읽어 보았다. 그리고 목차 역시 게임 지도서인가 하는 의심이 들 정도로 게임에 대해 설명한다. 물론 숨은 수학적 지식과 원리가 밑바탕이 되어 있다. 그래서 정말 탄탄한 도서이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나는 보드게임을 구입하고 놀이하면서 코리안 보드게임즈나 수도쿠를 풀면서 멘사그룹에 대한 경이로움이 든다. 어떻게 놀라운 수학적 사고를 밑바탕으로 재미있는 놀이로 발전시켰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는 놀이 개요나 지침서가 되어준 책이라고 설명하고 싶다. 책을 읽다 보면 숫자에 대한 놀라움 그리고 각 숫자에 대한 묘한 매력을 느낀다. 숫자뿐만 아니라 도형이나 기하학으로 접근하는 공간지각 등과 연관되는 지식이나 사고를 확장할 수 있는 방법도 많이 실려 있다. 아이와 보드게임을 하면서 기억력 게임을 위해 내가 직접 게임을 만들어 보고 아이와 함께 놀이해 보기도하는데 이 책을 보면 엄마표 게임을 만들 수 있겠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왜 우리가 수학에 접근해야 하는가에 대한 원론적인 부분도 생각해보게된다. 우리가 살면서 사칙연산외에 시그마나 코사인, 탄젠트등을 써 볼 일이 얼마나 있겠는가 하는 생각이 드는데 그런 수학 역시 사고력을 위해 끊임없이 질문해야 하는 방법을 길르고 두뇌 트레이닝 하는 연습인듯하다. 그리고 언어인가 수학인가 하는 생각도 들 정도로 추론 게임, 귀납법 완성등의 다양한 논리 구조를 함께 등재하면서 생각하는 힘을 길러준다. 중간에 게임의 설명을 위해 익살스러운 그림이 그려져 있어 우리 아이가 나중에이 책을 본다면 지루하지 않고 읽어 내릴수 있겠다 하는 생각이 든다. 우리 성인들이 거치는 시대와는 달리 우리 아이들은 AI와 경쟁하는 시대에 살게된다. 무엇보다도 창의적이고 생각하는 힘을 길러야 한다. 직접 생각을 하고 게임을 상상하며 직접 만들어 보는 게임, 스케치북을 펴고 그림을 그려서 게임에 도안을 그려내는 연습, 직접 도화지 색종이를 오려서 게임을 만들고 놀이해보는 훈련이 필요하다. 요즘 초등학생만 되어도 휴대폰을 가지고 다니기에 내 손 안에 펼쳐지는 디지털게임에 빠지기 쉽다. 디지털 게임 자체가 나쁘다라는 생각은 않하지만 단지 수동적인 게임보다는 내가 직접 생각하고 앞서가는 적극적인 게임을 만들고 적용한다면 창의력 사고는 물론 생각을 확장하는 기회가 된다. 수학이란 부분이 한 영역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화학,물리,언어, 수학 이렇게 다각적으로 엮인 영역임을 인지하게 된다. 우리 아이가 이 책을 읽고 따라해 보는 그 날을 상상하게 된다. 책의 말미에는 주석 부분에 대한 내용도 나와 있고 이 책을 만든 계기도 엿볼 수 있어 여러모로 도움이 된다. 그리고 게임 이름이 나와 있어 게임에 대해 리마인드해보고 질문하고 끊임없이 탐구하는데 도움이 된다.
* 북라이프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무상제공 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