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아이를 위한 감정코칭 - 존 가트맨.최성애 박사의
존 가트맨.최성애.조벽 지음 / 한국경제신문 / 2011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정작 아이를 앞에 놓고서 생활할 때는 실천하지 못 하는 행동들이나 또는 미처 생각나지 않는 말들이 있다.  아이가 가졌으면 하고 바라면서도 그 아이가 세상에 태어나서 그런 "자세"가 있다는 걸 보고 배워야할 role model로서의 부모가 되어 부족한 품성이라면 많은 경우, 자제심, 인내력, 배려, 경청하고 공감하는 자세이지 않을까.  그래서인지 대부분의 육아서나 인생서적에서는 이 부분에 대해 많이 논의한다.  남(자식)을 대하는 책(육아서)에서는 저 부분을 많이 강조한다면 나를 대하는 책(자기계발서)에서는 감사하는 마음에 대해서도 많이 얘기한다.  그런데 육아를 하며 감사하는 마음이 또 전후로 따라올 수 있음을 어제 알았다.

 

 

어제 꼬마 친구네 놀이터파티에 초대되어 찾아갔다가, 아들 잘못으로 호스트 친구가 엄청 울게 된 사건이 발생했다.  결국 사과하고 일찍 물러나왔는데 쭈볏대며 사과한 꼬마와 달리 그 친구는 우리가 떠나는 순간까지 마음이 안 풀렸었다. 

 

지켜본 나로선 그 친구 마음이 충분히 이해되는 상황이었으나 아들로선 많이 민망했었나, 돌아오는 차 안에서 사과해도 안 받아줄 것을 왜 하게했냐며 날 상대로 원망을.. 그래서 "00아, 넌 사과한 걸로 끝난다해도 상대는 사과받은 즉시, 그래 알았어 이젠 괜찮아. 하지 못 할 때도 있는거야.  너는 일부러 한 행동이 아니라 해도 결과적으로 상대를 그만큼 아프게 한 것이라면 그 아이 입장에서는 미안하다는 말 한 마디 들었다고 바로 분이 풀릴 순 없잖아" 하니 그럼 자긴 어떻게 해야하냐고..  용서받을 때까지 기다리는거라고, 상대방이 받아주든 안 받아주든 넌 일단 잘못한 거 인정하고 사과하고 그 다음엔 원망말고 기다려야한다고.  그렇게 얘기해줬는데, 아이한테 말하며 그러는 나는 과연 그렇게 살아왔나 갑자기 돌아보게 되었다.  
 

나 역시 누군가에게 본의 아니게 실수를 하였고 그 일에 대하여 사과했을 때 상대방이 즉각적인 용서반응을 안 보인다면, '사과했는데도 왜 저래?'하며 오히려 상대방이 속 좁다(?)고 일방적으로 단정짓고 상대의 감정을 무시하며 그대로 돌아서지는 않았나 싶은..  정말, 난 이 아이에게 모범이 될 만 했을까 갑자기 내 자신을 여러가지로 돌아보게 되었다.  사실 입장을 바꿔놓고 생각해보면, 나로서는 도저히 이해되지 않는 언행으로 부아를 돋궈놓고서는 "아 저런, 몰랐어. 미안!"하는 한 마디로 다시 아무 일도 없었던 듯 가버리는 상대방을 보고 더 화나지 않을까 싶으니, 어쩌면 미안해하고 사과하는 행동의 앞뒤로는 (상대의 감정에 대한) 공감-(내 언행의 잘못에 대한) 사과-(상대가 자신의 감정을 추스리는데 있어서 배출하는 것에 대한) 배려-(그 감정이 씻겨내려갈 시간을 기다릴 줄 아는) 인내심의 연쇄작용이 필요한 것을 그 동안 살아오면서 나 역시 제대로 작동시켜본 적이 없었던 것은 아닐까 싶다.

 

 

아이를 키우며 부모가 성숙한다는 옛 말, 그른 것이 하나도 없나 보다.  아이를 향해서 어떤 말이나 행동을 할 때 '내가 지금 잘 하고 있나?'싶을 때도 있고, 이미 하고난 뒤 돌아서서 '그때 왜 그랬을까'하고 후회할 때도 많지만, 또 아이가 있는 덕분에 그 아이를 통해 제3자 입장에서 내 행동을 돌아보는 기회도 많은 것을 보면 말이다.  그러고보면 내 아이를 생각해서 읽은 육아서에 나온 글들은 내 아이만을 상대로 한 코칭이 아니라 사회에서 살아가며 타인에 대해 전반적으로 나의 부족한 면을 깨우치고 채워주는 내용들이 더 많았던 듯 싶다.  운전하며 돌아오는 그 짧은 시간 동안 여러 생각이 스쳐가며, 귀가 후에는 그간 무심코 읽고 지나갔던 책들을 그 목차로 짚어보며 내 행동양식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되었다.  그리고 또 하나의 평범한 하루 일과 중에서 아이와 함께 한 것만으로 나의 부족한 면을 깨달을 기회가 있었다는 점에 감사한 하루이기도 했다. 

 

이렇게 작은 깨달음과 감사들이 쌓여가면서 매일 조금씩 아이와 함께 성장해간다.  그저 한 가지 더 바라는 점이 있다면, 친구 말마따나 "철 들자마자 노망난다"고 너무 늦게 되지만은 않기를.

 

(여하튼 그 존재 자체로만으로도 도움이 되는 책들이 분명 있다.  목차만 되짚어 읽어도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해주는 책들은 그 이유 하나만으로도 비좁은 책장 속에 꾸역꾸역 쌓아놓더라도 소장할 가치가 있는 것이라 새삼 느꼈다.)

육아, 아이는 부모의 스승, 대인관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