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머니즘의 옹호
머레이 북친 지음, 구승회 옮김 / 민음사 / 2002년 8월
평점 :
절판


북친의 생태이론이 핵심은 생태문제는 자연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의 문제라는 점이다. 그리고 그에게 <사회문제>란 초인간적으로 이미 결정 혹은 폐쇄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능동적 실천에 의해 열려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회>없는 생태론, 인간의 능동적 <실천>이 결여된 생태론은 북친에게 실날한 비판의 대상이 된다. 그는 이런 경향들을 대개 인간혐오주의, 신비주의, 원시주의 등으로 이름붙이며, 그 구체적 비판 대상들은 윌슨의 사회 생물학, 도킨스의 문화적 유전자 결정론, 에를리히 등의 신멜서스주의, 네스 등의 심층 생태론, 낭만화된 (상상적) 원시에 근거한 원시적 영성(primitive spirituality) 찬양, 기술을 정연명령으로 보는 기술공포적(technopobia) 경향들, 인간의 수동성과 무위성에 대한 정당화로 나아간 하이데거를 직간접적으로 계승한 포스트모던 허무주의, 그리고 파이어벤드 류의 인식론적 상대주의 과학철학 등을 하나하나 논파 혹은 빈정거린다.

북친의 날카로운 비난 혹은 빈정거림은 바이마르 시대에 대두된 보수주의 혁명론이 유포된 이래 인간의 능동적 문제 해결 능력을 부정하거나 과소평가해온 몽롱하거나 결정론적인 여러 이념들이 여전히 새로운 옷으로 갈아입은 채 다시 재생되고 있음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충분히 읽을 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역자 구승희씨는 저자가 빈정거리는 몽롱한 생태이론가의 한 부류가 된 때문인지 해설문이나 후기에 직절적인 투정을 부리고 있었다. 역자가 자기가 번역한 책에 대해 이렇게 감정적인 반응을 노골적으로 드러낸 경우는 나로썬 처음이었다. 그러나 구승희씨의 비난은 충분하지도 구체적이지도 못하며 인신공격적 성격이 너무 노골적이다.

개인적으로 별을 다섯개 주고 싶지만 번역 상태가 후반부로 갈수록 성실성이 떨어지고 있음을 느꼈다. 역자의 해설 역시 그다지 성실하지 못하다. 그럴리야 없겠지만 학부생들에게 요약을 맡겨서 대충 짜깁기한 인상을 주는 해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