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군청의 카르테 1
시이나 치카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25년 8월
평점 :
『군청의 카르테 1』마음의 밑바닥에서 피어난 파란 기록
群青のカルテ 1
Medical Record df Midnight Blue 1
🔺 저자 : 시이나 치카
🔺 출판사 : 학산문화사

🎯 누군가의 마음을 이해한다는 건 얼마나 어려운 일일까. 『군청의 카르테 1』을 펼치기 전, 나는 단순한 의학 만화를 기대했다. 하지만 첫 장을 넘기자마자 알았다. 이 이야기는 치료보다 훨씬 깊은 곳, ‘사랑의 절벽’에서 시작되는 이야기라는 걸.


🔖 파란 하늘 아래, 절벽 끝의 모녀
정신과 의사 린코의 삶은 완벽했다. 환자들의 마음을 읽어내고, 그들에게 다시 살아갈 이유를 선물하는 일. 그러나 그 누구보다 가까운 존재인 딸 유리의 고통은 보지 못했다. 뛰어내리려는 유리를 붙잡은 순간, 두 사람은 함께 추락하고 ,깨어나 보니 린코의 의식은 유리의 몸 안에 있었다. 그 장면은 마치 인간의 교만을 심판하듯, 차갑고도 처절하게 묘사된다. ‘나는 너를 안다고 믿었지만, 사실은 몰랐다.’ 그 문장이 작품 전체를 지배한다...

🔖 학교라는 또 다른 병동
유리의 학교는 사회의 축소판이다. 아이들 간의 경쟁, 교사들의 무기력, 부모의 기대가 교차하는 곳. 린코는 이 세계를 ‘정신과 병동의 확장판’처럼 관찰한다. 그녀의 시선은 때로 냉정하지만, 결국엔 따뜻하다. 특히 ‘다른 사람의 고통을 안다는 건, 함께 아파본 사람만이 가능한 일’이라는 대사는 이 작품의 심장을 이루는 문장이다. 시이나 치카는 현실적인 묘사와 감정의 여운을 오묘하게 결합시켜, 독자가 스스로 마음의 병을 들여다보게 만든다.

💬 마음을 잇는 ‘군청의 기록’
군청(群青)은 깊고 차분한 파란색이다. 린코의 죄책감, 유리의 절망, 그리고 두 사람의 재탄생이 이 색으로 물든다. 작가는 의학 감수를 맡은 오바야시 타카후미의 도움을 받아 실제 정신과 현장의 리얼리티를 살리면서도, ‘사람을 구하는 건 이성보다 사랑’이라는 명제를 끝까지 밀어붙인다. 결국 이 이야기는 ‘죽음의 문턱’에서 ‘삶의 이유’를 다시 써 내려가는 인간들의 연대의 기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