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대 교수들이 말하는 탄소중립을 위한 기술혁명 - 탄소중립을 향한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현실적인 해결책
서울대학교 국가미래전략원.윤제용.구윤모 편저 / 포르체 / 2025년 7월
평점 :
🏫 서울대 교수들이 말하는 탄소중립 기술혁명: 미래를 바꾸는 열한 개의 열쇠
🔺 저자 : 서울대학교 국가미래전략원, 윤제용, 구윤모 (편저)
🔺 출판사 :포르체

📖 처음 이 책의 제목을 접했을 때, 저는 막연히 ‘전문가들의 학술 보고서’ 정도일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마음 한켠에서는 기대감이 피어올랐습니다. 왜냐하면 기후 위기라는 거대한 주제가 더 이상 뉴스 속 숫자가 아닌, 제 삶과 직결된 문제라는 것을 이미 느끼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과연 이 책은 단순한 기술 해설서일까, 아니면 제가 고민하는 미래를 향한 구체적 나침반이 될까? 설렘과 긴장 속에 첫 장을 열었습니다.
🔖 기술의 현실화: 연구실에서 산업 현장으로
책을 읽으며 가장 먼저 놀란 점은 기술이 단순히 설명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시장과 정책까지 연결된다는 점이었습니다. 연구실에서 성공한 기술이 산업 현장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단계적으로 보여주니, 단순한 ‘가능성’이 아닌 ‘현실성’으로 다가왔습니다. 예컨대 히트펌프 기술을 설명하면서 냉난방 시스템과 건축 설계, 정부 지원 정책이 함께 이야기됩니다. 저는 이 부분에서 ‘기술은 혼자가 아니라 생태계 속에서만 살아남는다’는 메시지를 깊이 느꼈습니다.

🔖 철강과 시멘트: 포기할 수 없는 산업의 대전환
철강과 시멘트는 한국 산업의 뿌리이지만 동시에 가장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합니다. 수소환원 제철, 광물탄산화 같은 기술이 제시되었을 때 저는 묘한 감정을 느꼈습니다. ‘과연 이게 가능할까?’라는 의심과 동시에 ‘이 길 말고는 답이 없다’는 절박함이 교차했습니다. 책은 정부와 대학, 기업의 삼각 협력이 없다면 결코 대전환은 불가능하다고 강조합니다. 이 대목을 읽으며 저는 ‘탄소중립은 개인의 절약 차원이 아니라 구조의 문제’라는 사실을 실감했습니다.

🔖 전력망 혁신: 보이지 않는 기반, 미래의 혈관
태양광과 풍력 같은 재생에너지가 늘어날수록 전력망은 더 복잡해집니다. 교수들은 이를 “산업의 혈관”이라 표현하며, 전력망 혁신이 없으면 아무리 좋은 기술도 막혀버린다고 말합니다. 분산형 자원, 수요반응, ESS, 수소 연료전지 등 다양한 보완 기술이 필요하다는 설명을 읽으며, 저는 마치 눈에 보이지 않는 길이 미래 산업의 표정을 결정짓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CCUS와 탄소 전환: 줄일 수 없다면 붙잡아라
줄일 수 없는 탄소를 붙잡아 저장하거나 활용하는 기술, CCUS. 책은 이 기술의 실패와 좌절의 역사도 숨기지 않습니다. 그러나 동시에, 왜 우리가 여전히 이 기술을 포기할 수 없는지 설득합니다. 특히 “탄소를 적으로만 보지 말고 자원으로 보라”는 문장은 저를 멈춰 서게 만들었습니다. 저는 이 대목에서 기후 위기가 단순한 재앙이 아니라, 인류의 창의성이 발휘될 수 있는 장이라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 이차전지와 모빌리티: 한국의 위치와 도전
배터리 분야는 한국이 강점을 가진 대표 영역입니다. 그러나 책은 냉정하게도 “선두 그룹이지만 안심할 수 없다”고 경고합니다. 원재료 확보, 재활용 체계, 차세대 기술 준비가 부족하다면 언제든 추격당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 대목을 읽으면서 저는 한국 산업이 가진 기회와 위기가 동시에 보였습니다. 미래 모빌리티의 성패가 결국 배터리의 ‘내구성과 생태계’에 달려 있다는 말은 오래도록 제 마음에 남았습니다.
💬 책을 덮고 난 뒤 제 마음에는 분명한 변화가 있었습니다. 읽기 전에는 ‘탄소중립은 거대한 구호’였지만, 읽고 난 후에는 ‘내 삶과 직접 연결된 현실’이 되었습니다. 특히 “이 장면, 당신이라면 어떻게 느꼈을까요?”라는 질문은 단순한 문장이 아니라 제 자신에게 던지는 물음이었습니다. 막연함에서 구체적 실행으로, 저의 생각이 한 단계 나아갔음을 느꼈습니다.
서울대교수들이말하는탄소중립기술혁명, 포르체, 탄소중립, 수소경제, 이차전지, 전력망혁신, 히트펌프, CCUS, 기후테크, 산업전환, 과학기술, 지속가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