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유해한 남자]는 화가 펠릭스 발로통의 소설이다. 40대에 쓴 소설이고 출간은 사후에 이루어졌다. 화가의 어린 시절과 청년기를 엿볼 수 있지만 엄연히 소설이다. 자크 베르디에라는 젊은 미술 평론가의 어린 시절과 20대에 일어난 몇 가지의 주요한 사건들을 담고 있다. 모두 자크 베르디에 주변인들의 죽음과 관련된다


친구의 뒤를 걷다 등 뒤로 지는 태양의 긴 그림자가 친구를 덮치자, 놀란 친구가 발을 헛딛고 난간 아래로 추락한다. 위층에 세든 마음씨 좋은 아저씨에게 편지를 전하며 그를 놀래키려고 뒤에서 그의 귀에 대고 소리를 지르자 날카로운 끌로 작업을 하던 아저씨가 그 소리에 놀라 끌이 손톱에 박혀 결국 죽음에 이른다. 젊은 미모의 모델이 화실에서 일을 마무리하고 높은 의자에서 내려오며 베르디에의 손을 잡다가 놓쳐서 시뻘건 난로로 곤두박질치고 만다. 이와 같은 사고들이 잇따른다. 점점 침울한 외톨이가 되어가는 청년의 모습이 무척 안쓰러웠다


책 표지는 펠릭스 발로통의 자화상 클로즈 업인데, 움푹 팬 눈 밑의 그림자가 이 청년의 삶을 말해준다. 이 소설은 아름다운 문장이나 깊은 혜안엔 관심이 없어 보인다. 의도치 않은 사고 속에서 일찍이 삶의 어두운 면을 알아버린 소심한 남자의 치명적 방황이 있다. 그가 신의 저주를 받았는가? 그가 불운한 운명을 타고 태어났는가? 그건 모를 일이다. 펠릭스 발로통은 이런 죽음들이야말로 삶을 지배하는 일종의 조건이라 생각하는 것 같다. 삶을 사는 것은 언제나 누군가에게 해를 입히는 것이 바로 현대적 삶의 조건이라는 듯.


발로통이 그려낸 인물은 말을 해야 할 때 침묵하고 말하지 말아야 할 때 입을 연다. 기껏 무슨 말을 해야겠다고 되뇌다가 막상 발화의 순간이 오면 엉뚱한 이야기를 한다. 사랑하는 사람을 마주할 때 사랑(?)으로 타올라 그 사람은 아랑곳하지 않고 그 사람속으로 들어가고 싶어 조바심치다가 절망한다. 우리 대부분이 그렇듯.


발로통의 그림을 보면 가장 안락한 공간의 두 남녀의 다정한 포옹조차 뭔가 설명할 수 없는 불길한 느낌을 전하고 있는, 일종의 수수께끼다. 누군가의 표현에 의하면 발로통 그림은 우리 안의 탐정을 자극한다고 썼는데, 이 소설은 탐정의 돋보기 안경이나 마찬가지 일 듯하다. 발로통의 그림 세계를 온전히 느끼고 싶다면 이 소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