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만화) 1 - 스완네집 쪽으로 - 콩브레 ㅣ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만화) 1
마르셀 프루스트 원작, 스테판 외에 각색 및 그림, 정재곤 옮김 / 열화당 / 199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을 좋아하고 어려운 책에 도전하기를 즐기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번쯤은 들어봤을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를 읽고 싶다는 생각은 하였으나 그 어마어마한 양의 글과 모두가 한입으로 말하는 '정말 끝까지 읽기 힘든 책'이란 엄포에 두려움만을 가진 채 시간 속에서 잊혀져 가고 있었다.
그리고 마르셀 프루스트라는 이름만이 기억 속에 잔재처럼 남아있을 무렵 스테판 외에라는 프랑스 만화작가가 이를 만화화한다고 화제가 되었고 '만화라면...'이라는 생각 하에 이 책을 고르게 되었다. 만화라고는 하지만 프루스트의 글을 고치거나 해석한 것이 아니라 선택적으로 발췌해 어찌보면 원작의 축약본이라고 할 수도 있다. 하지만 프루스트의 독특한 화법을 손상시키지 않았다는 점에서 나와 같은 입문자들이 읽기 쉬운, 본격적인 여행을 시작하기 전의 준비 단계인 가이드북과도 같은 역할을 해준다.
아주 우연한, 그리고 순간적으로 우리의 오감이 과거의 기억에 의해 머리 속 깊은 곳에 저장되었던 감각적인 향기에 의해 자극되었을 때 마치 컴퓨터의 입력키를 친 것처럼 쏟아져 나오는 기억의 홍수들. 작가는 그것을 잃어버린 시간이라 칭했으며 우리 모두가 잃어버렸다고 생각했던, 심지어는 죽어버렸다고 생각했던 과거의 기억들이 내 안 깊숙한 다락방에서 주인이 언젠가 다시 문을 열어주기를 기다리며 조용히 기다리고 있었다는 것을, 그래서 그 모든 시간의 주인이였던 당사자마저 존재조차 깨닫지 못했던 그 기억의 방문을 아주 우연한 기회에 감각이라는 열쇠를 손에 얻게 되어 기억의 파편들이 다시 현재의 시간 속에서 모아지고 조립되면 재해석될 때 나의 현재가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 지를 너무나 화려하게, 그리고 종횡무진으로 묘사해간다.
그리고 스테판 외에의 그림은, 글로 빽빽히 채워질 수 있는 그 엄청난 묘사들을 하나의 장면으로 간략히 표현하며 글과 그림간의 아름다운 조화와 이해를 구해낸다. 특히 시작과 끝, 그리고 중간 중간에 나타나는 주인공의 두 눈을 통한 과거가 의식의 표면에 이르는 순간에 대한 묘사는 참으로 매혹적이다.
한 문장 한 문장은 대형 박물관에 귀중히 보관되어 있는 하나 하나의 예술품처럼 감동적이며 섬세하다. 아마 스테판 외에의 이런 노력이 없었다면 끝까지 이 책을 읽어볼 용기를 내지 못했을 것이다. 아직 원작을 읽진 않았지만 그리고 전편을 다 읽게 될 수 있을 지 확신할 수는 없지만, 꼭 그렇게 다 읽지 못한다 하더라도 스테판 외에의 이 책을 통해 우리는 프루스트를 좀 더 편안하게 만날 수 있으며 이 재창조된 그의 예술 또한 프루스트의 작품만큼의 가치를 가질 수 있다고 믿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