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TO READ 사드 How To Read 시리즈
존 필립스 지음, 김병화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8년 12월
절판


사드는 우리 대부분의 눈길을 돌리고 싶어하는 인간 본성의 어두운 측면을 겁없이 탐구해 들어간다. 인간 존재의 대상화, 욕망의 철저한 이기성, 법률에 구해되지 않고 사회화의 인간적 영향이 결여된 자아의 독재성이 그러하다. 흔히 인간적 타락과 죄악 배후에 놓여있는 성적 동기, 인간 역사에서 그토록 많은 폭력을 몰고온 성적 사디즘 등에 대한 사드의 폭로는 오늘까지도 되풀이 되어 강조할 필요가 있는 중요한 메시지이다.
-12쪽

1. 프로이트적 관점
소설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어머니에 대한 증오, 사드의 어린시절 어머니의 무관심과 관련되어 있다. 사드의 성적관심의 초점인 항문/남근과 '가학적인'행위에 대한 집중이 무의식적인 아버지 숭배와 결부된다는 주장도 있다. 사드는 어머니를 증오하고 아버지를 사랑하는 역(逆)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사례이다.

2. 역사적 맥락
18세기 프랑스의 문학적, 철학적, 정치적 배경에 뿌리를 두고 있다. 사드는 무신론적 유물론을 지지하는 강력하고 논쟁적인 발언자로서 계몽주의 어두운 측면을 담당했다.

3. 사드가 벌이는 게임
위선적 포르노그래피 작가인 사드, 문인 사드, 군주제 지지자인 사드, 공화주의자 사드, 풍자작가인 사드, 논쟁자 사드, 최고의 회의주의자, 젠체하는 정통주의자들의 옷 솔기를 뜯어버리고 허세의 풍선을 터뜨려 버리고 일관성 없음과 위선을 폭로하기로 작정한, 의심의 목소리이다.

풍자- 루소의 이상주의적 견해를 조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