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밀란 쿤데라 지음, 이재룡 옮김 / 민음사 / 200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참 제목이 맘에 든다. 이 제목 덕에 이 책 읽지도 않았는데 읽었다는 착각을 들게한다. 존재의 가벼움 평소 가끔 생각하던거다. 내가 너무나 가볍다고 생각될때 아니면 세상이 너무나 모든 것을 가볍게 표현할때~~

책 내용 조금 보자마자 내가 원하던 책이 아니었다. 이 책을 내가 이해하기에는 나의 문학적 소양이 부족하였다. 그리고 나하고 코드가 많이 맞지 않았다. 이 책에서 나오는 것, 성, 자유, 억압, 프라하, 개~ 별로 생각하지 않은 것이다. 생각할 일도 없고,

체코에서 프랑스로 망명한 작가답게 공산화된 체코의 현실을 비판적으로 묘사하였다. 이걸 읽고 느꼈다. 소련 역시 제국주의라고, 가끔 좌파들은 공산주의가 대안이라고 하던데, 대표적인 공사주의 국가 소련은 대안이 아님을 우리에게 알려준다. 적어도 밀란 쿤데라만은. 체코에서도 공산주의 체제에서 자라란 사람들은 그게 최고지 알겠지. 물론 자본주의 체제에서 자라난 사람들이 돈이 최고라고 아는 것처럼

작가는 비판한다. '키치'를 인위적으로 그려진 행복, 환상~~ 헐리우드 영화에서 나오는 멋쟁이 부자들의 모습. 그리고 언론과 출판에서 그려내는 부자 아빠.. 그것이 키치가 아닐까? 또한 작품에서 국제봉사로 나서는 곳에서 미국 배우가 자신이 봉사에 앞장선 모습을 꼭 사진으로 찍으려다 프랑스 봉사단하고 마찰을 일으키는 부분이 나온다. 얼마나 그 여배우가 역겨웠던지...

기아들에게 빵을 줘야한다고 사진찍으면서 호화저택에서 사는 그 사람들의 모습이 순간 떠올랐다. 그리고 스크린 쿼터제 유지를 위해 시위하는 한국 배우들.. 근데 그 배우들이 그곳에 참가할때 타고온 외제차의 모습 또한 역겨운 모습을 보여준다. 켁~

우리에게 진정한 행복이 무엇인지 가로 막는 키치들... 경계해야한다. 아마 선구자들이란 이런 키치를 깨트리는 사람인 것 같다.

하지만 밀란 쿤데라의 생각엔 동의하진 않는다. 그의 지극히 프랑스적인 아니 체코산 자유주의가 솔직히 맘에 들진 않는다. 혼란스러운 성생활, 그리고 개를 인격화 하는 내용들은 별로다. 동물도 식물도 보호하고 아껴야 하긴 하지만 사람을 꽃보다 아름답지 않을까? 개보다도 물론. 개에게 사랑을 주지 말고 사람에 더 주었으면 좋았을텐데..

현실인식까지 좋았는데 대안제시가 바람직하지 않다. 도덕성을 갖추지 않은 개혁은 문제가 있는 것 같다.

도덕성을 갖추고 현실을 제대로 인식한 행동가를 우리 사회는 원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webzzang 2004-04-11 15: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목만으로도 충분한 흥미가 넘칩니다. 도서관에 우연찮게 이 책을 발견하고 제 젊음에 대해서 회상했던 기억이 납니다
 
도련님 클래식 레터북 Classic Letter Book 5
나쓰메 소세키 지음, 육후연 옮김 / 인디북(인디아이) / 200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군대서 앞으로 읽을 책 목록중 하나로 정한 책이다.. 작가이름 우낀다.. 소세끼.. 하하.. 목로주점 쓴 에밀졸라도 생각나는군.. ^^ 이것저것 꼭 읽어야할 교양서적이라고 추천들 해서 꼭 읽고 싶었다.. 특히 이름이 맘에 든다.

도련님(붓짱)을 처음 봤을때. 가벼웠다. 책도 가볍고, 삽화도 있고, 글씨도 큼직하고, 덕분에 빨리 읽었다. 내용도 참 쉽고.

심심하면 읽을만한 책이다. 배경때문에 근대일본문화도 조금 알 수 있다. 조금생각하면 사회풍자라고 하지만 그러한 유쾌한면이 명랑소설같은 분위기를 풍긴다. 특히 일본의 사투리를 우리나라 사투리로 고친 번역이 맘에 들었다. 청소년 시기에 읽어도 좋구 초등학생때 읽어도 좋았을 것 같다. 참 순수한 책이다. 주인공처럼 주위사람들 별명이나 지어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랑의 기술 혜원 월드베스트 31
E.프롬 지음, 백문영 옮김 / 혜원출판사 / 1998년 6월
평점 :
절판


에리히 프롬은 내가 가장 좋아하는 사상가이다. 그의 이론은 정말 이 사회를 명확히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것 같다. 사회 심리학자로 이 사회를 분석할려고 노력하고 이 사회의 문제점을 고치고 실천하려는 실천적 휴머니스트이기도 하다.

사랑은 여러가지가 있다. 남녀간 형제간 친구간 자기애 부모님과의 신과의 사랑 등 많다. 하지만 이 책은 은근히 남녀간 사랑의 기술을 가르쳐줄 것이라는 생각을 여지없이 깨트린다.

에리히 프롬의 사랑은 실천이라는 것을 알려준다. 그리고 그 방법까지 자세하게 설명해준다. 막연한 이상을 그린게 아니라 구체적인 지침서이다. 바로 나자신에게 적용시키고 살아가야할 삶의 양식이다.

그는 요구한다. 우리에게 합리적 신앙을 가지라고 한다. 맹목적이 아닌라 확실하고 견고하고 생산적이고 용기를 가져서 고통과 실망마저도 받아들일 수 있는 마음을 가지라고 요구한다. 그것이 이 사회의 문제점을 해결할 것이라고 한다.

이 책을 대학생이 된 지금에서야 읽게 되서 너무 안타깝다. 에리히 프롬의 책을 소개해준 사람도 여태껏보지도 못하고 정말 안타까울 나름이었다. 우연의 계기로 읽게된 소유냐 존재냐 로 에리히 프롬을 알게 된 것은 행운이었다.

이 책을 읽고 꼭 소유냐 존재냐도 읽어보시길 권하는 바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놀라운 하나님의 은혜
필립 얀시 지음, 윤종석 옮김 / IVP / 2003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을 볼때 너무 놀랐습니다. 복음주의 최고의 작가라는 평을 두고서라도 그가 너무 신랄하게 기존교회 복음주의 교회를 비판하고 있었습니다. 정죄함이 판치고 자기들 스스로의 율법에 빠져서 하나님의 은혜를 체험하지 못하는 교회를 비판하고 있었습니다. 그의 글이 비판에만 치중하는 것도 아니고 복음주의교계의 일원으로 옹호도 아니고 그 대안을 제시했다는 데에서 놀라웠습니다.

자기 자신의 부끄러웠던 죄도 고백하고. 너무나 속 시원한 책이었습니다. 그리고 이 책에서 하나님의 은혜를 체험한 많은 사람들의 예화처럼 우리들에게도 하나님의 놀라운 은혜가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음을 느꼈습니다. 그리고 하나님께서 내게 얼마나 큰 은혜를 베푸시고 있는 것을 알았을때 감사했습니다.

한국교회에 필립얀시같은 분이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한국 교회가 이 책을 읽고 같이 놀라운 은혜를 체험했으면 좋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조세희 지음 / 이성과힘 / 2000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일명 난.쏘.공 이라는 이 책을 이제서야 읽게 됨이 가슴아프다. 이 책은 충격적인 책이다. 세월이 많이 지난 작품이지만 지금 내가 봐서도 감동적이다. 그리고 이시대의 난장이가 누군지 한번 생각해보게 한다. 그럼 이 시대 난장이가 누구일까?

어느경제학자가 소득수준을 기준으로 사람들의 키를 정해서 1시간동안 행진하는 모습을 그렸다고 한다. 그때 충격적인 모습이 나왔다. 처음에는 보이지가 않는다. 왜냐하면 그들은 땅속으로 머리를 박고 간다. 그리고 성냥갑만한 사람이 지나가고 담배 길이의 사람이 지나가고 30분이 지나도 우리 키의 반도 되지 않은 사람들이 지나간다고 한다. 48분에 이르러서야 175cm의 사람의 모습이 나온다고 한다. 그리고 마지막 몇초에 이르러서는 거인의 모습들이 나온다 그 거인들은 63빌딩을 넘어 구름까지 키가 이른다고 한다. 만약 이것이 소득이 아니라 재산을 기준으로 하면 그 격차는 더 심해 질 것이다.

이것을 보면 우리들 거의 대부분은 난장이일수밖에 없다. 그래서 더욱더 우리사회의 진짜 난장이들, 이 사회의 약자들을 돌아봐야만 하는 것이다. 난장이인 나조차 난장이를 사랑하지 못한다면 저 구름위, 정말 공기가 다른 곳에 있는 사람들은 난장이를 보기도 힘들것이다.

사회가 점점 거칠어 간다. 경쟁이 점점 치열해진다. 국민소득도 올라갔다. 모두들 키가 컸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남을 짓밟아 커진 키는 그리 오래 가지 못할 것이다. 정말로 우리 모두 고른 영양소를 먹으며 클 수 있어야 한다. 난장이들에게 안전하다고 하는 릴리루트읍의 난장이 마을처럼 우리들 모두가 난장이의 마음으로 난장이를 위해 살아가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