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계단 - 제47회 에도가와 란포상 수상작 밀리언셀러 클럽 29
다카노 가즈아키 지음 / 황금가지 / 200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형제도 및 현재 형법제도의 모순, 피해자와 가해자의 관계, 전과자의 처지 등을 숨가쁜 미스테리와 함께 펼쳐냈다. 미스테리로서도 성실하고, 사회적인 이슈를 날카롭게 그려낸다는 점에서도 만족스럽다. 밤새도록 내가 사형수가 된 꿈에 시달릴 정도로 글 자체가 흡입력이 있었다. 조금 당황스러운 점은 10년 전의 그 사건의 범인. 가능성은 있다고 생각했지만 딱히 근거가 없었기 때문에 주인공이 눈치채는 마지막 순간까지 전혀 몰랐다. 3인칭 시점이긴 하지만 주인공들의 시점을 그대로 따라가기 때문에 주인공들의 추리과정을 그대로 쫓아갈 수 밖에 없다. 가정하고 실패하고, 그 실패를 근거로 또 가정하고 또 실패하고, 훌륭한 정반합의 추리과정이다. 주인공들도 성실하고.
  
해피엔딩 같지만 해피엔딩이 아닌 마지막 때문에 정말이지 싱숭생숭해서 잠을 못자겠더라. 속이 답답해졌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중력 삐에로 작가정신 일본소설 시리즈 10
이사카 고타로 지음, 양억관 옮김 / 작가정신 / 2006년 5월
평점 :
절판


13계단과 겹쳐 보여서 슬펐다. 젠장, 이렇게 가벼운 문체로 이런 이야기를 하다니. 시구자와 케이이치와 맞먹는 잔인함을 가졌어!
강간 당한 누군가를 위해, 복수를 꿈꾸는 청년이라니. 게다가 그 복수는 약간 애매한 성격을 갖고 있다. 아무래도 그 강간이 없었으면 청년은 태어날 수 없었으니까. 이런 지독한 아이러니가 슬프다. 선량하고 재미있는 사람들인데, 화해할 수 없고 용서할 수도 없는 사람이 존재한다는 것은 그자체로 무척 슬프다. 사람을 죽이고도 아무렇지 않을 수 있을까. 복수는 정말로 시원한 느낌이 드는 걸까. 경찰에 자수하지 않아도 괜찮은 걸까. 소심한 나는 별의 별 생각을 다했다. 그 적의, 증오자체가 안타까워서 견딜 수 없었다. 정말이지 네안데르탄인이 크로마뇽인을 죽였는지 아니면 그 반대였는지, 어쨌거나 어느 한 쪽을 죽이고 살아남은 인간들의 후손이라고, 그렇기에 이렇게 살아갈 수 밖에 없는 거일지도 모른다고 주절거리는 녀석들을 보면 더 가슴이 아파졌다.
젠장.두고보자. 라고 말하고 싶을 만큼 어쩐지 진 기분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소게임 작가의 발견 1
아토다 다카시 지음, 유은경 옮김 / 행복한책읽기 / 2006년 10월
평점 :
절판


추리 단편집이다. 재밌는 부분도 있고, 좀 어이없는 부분도 있고 뻔한 부분도 있었다. 가장 마음에 드는 트릭은, 방수처리가 완벽하게 된 욕실에 수영장 물이 들어오게 만들어놓은 장치. 호쾌해서 좋았어! 우와 불쌍하다. 근데 그거 환기구 통해서 쏟아지는 거니까 다른 층 사람들한테도 물 세례가 떨어졌을지도 모르는데... ㅡ,ㅡ;; 게다가 그 물은 도대체 어떻게 뺀 거야. 생각해보니 정말 어이가 없네. 이사람은 이런 트릭이나 배신 따위를 좋아하는 듯 하지만 대체적으로는 다 당연히 알 수 있는 느낌이었다. 게다가 일종의 컨셉인지 불륜이 80%, 히스테리가 15%인 살인동기.. 나머지 5%만 조금 특이한 동기. 아아, 시시해. 흔하게 일어나는 일이니까 어쩐지 더 시시해.

근데 원제는 과거를 부르는 발인데.. 시소게임을 제목으로 바꾸다니. 표제작 선정을 다른 것으로 한 이유가 뭘까? 나로서는 시소게임보다는 과거를 부르는 발 쪽이 훨씬 마음에 들었는데. 아니면 제일 처음에 있는 시어머니 이야기라던가.. 흠.

그리고.. 행복한 책읽기나 손안의 책처럼 한 장르를 꾸준히 파고 마니아층과 영합하는 마케팅, 기획을 하면 역시 그만큼 판매지수가 어느정도는 나와주는 것 같다. 작은 출판사가 가야할 길은 그런 거지. 근데 이건 팬心이 없으면 캐치하기가 힘든 부분이라... 내가 좋은 기획자가 되려면 너무 멀었어..(완전 생초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800만 가지 죽는 방법 밀리언셀러 클럽 13
로렌스 블록 지음, 김미옥 옮김 / 황금가지 / 200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멋진 하드보일드 소설이었다. 첸스란 흑인아저씨도 특이한 게 마음에 들고, 술 때문에 내내 주절거리는 탐정도 마음에 들었어. 슬픈 것은 정말 800만 가지 죽음이 있는 이 뉴욕이라는 도시. 서울도 아마 그정도는 되는 걸로 알고 있다. 완벽한 매트로폴리탄이지. 사람들은 너무도 쉽게 서로를 죽인다. 쉬운일이 아닌데. 여전히 손을 부들부들 떠는 탐정님만 해도 정말 그렇게 느껴지는데. 죽음을 경험한 사람들은 모두 트라우마를 안고 살아가게되겠지. 너무 쉽게 죽고 죽일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미국이라는 나라가 웃기다는 생각이 들었다. 볼링 포 콜롬바인에서 그 아저씨가 욕해대는 것처럼. 도대체 총이 해주는 일이 무엇이 있나. 우발적 살인의 건수를 더 높여주고 있을 뿐이 아닌가. 범죄의 수를 더 늘려주고 있을 뿐이 아닌가. 작가는 그런 얘기를 좀 하고 싶었던 것 같다. 총이 아니래도 그런 일들은 일어나고 말지만, 그래도 총이 있기 때문에 그게 더 심해진다는 그런 느낌이었어. 그런 걸로 따지면 우리나라는 치안은 짱이라니까. 성범죄나 가정폭력에 대한 처벌이 미비해서 그렇지.. 흥.
범인은 황당했다. 하지만 가능한 일이었어. 추리할 건 아예 없다시피 하지만 그래도 탐정의 주절거림, 할렘가, 밑바닥 인생들의 이야기가 잘 나타나 있는게 정말 하드보일드다운 소설이란 생각이 들었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겨울의 죽음 - CSI: 과학수사대, 뉴욕 #1
스튜어트 카민스 지음, 이수현 옮김, 한길로 감수 / 찬우물 / 2005년 12월
평점 :
품절


이번에도 드라마와 마찬가지로 두가지 사건이 한꺼번에 돌아간다. 미친듯이 눈이 오고 엄청 추운 뉴욕의 겨울이 라스베가스나 마이애미와 다른 CSI뉴욕만의 분위기를 전해준다. 드라마를 소설화한 것으로는 꽤 만족할만한 퀄리티를 보여주는 CSI시리즈. 드라마 속의 주인공들을 생생하게 살려줘서 마음에 들었다. 추리는 좀 약했지만 늙은 킬러의 사투도 왠지 애잔하고(분명 나뿐 놈인데), 테일러 반장의 아내사랑도 애잔하다. 근데 문득 궁금해지는 것! 9.11테러로 아내를 잃었는데 어째 기일은 한 겨울이냐! 다쳐서 병원에 있다가 죽은 걸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