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기사회 - 한국인은 지금 어떤 마음이 고픈가 아케이드 프로젝트 Arcade Project 2
주창윤 지음 / 글항아리 / 201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허기사회는 자기위로에 빠지는 문화를 생산해낸다.

우리 사회의 허기문화는 퇴행, 모방욕망 그리고 분노표출로 특징지어진다.

이와 같은 경험들이 용해되어 나타난 우리시대의 마음들을 정서적 허기로 표현했다.

대중이 사회와의 긴장 관계속에서 불안이나 혼란과 같은 정서적 경험을 느끼는데, 그 정서가 사회밖으로 분출되지 못하고 개인적 심리적 수준에서 자기위로라는 감정으로 해소된다.

이 공허함을 어떻게 메울 수 있을까?

한병철은 깊은 사색주의를 강조한다.

바우만은 SNS에 몰입하는 한 소녀의 예를 통해서 소녀는 혼자 지낼 수 있는 기술을 배워볼 기회조차 가져보지 못했다고 한다. 사람들은 자신들의 근육이나 상상력같은 것을 활용해서 공허감에서 빠져나올 수단을 잃어버리고 있다는 것이다.

어느 사회에서나 갈등은 필연적으로 존재한다. 그러나 이 갈등은 배제의 논리로 풀어지지 않으며, 다위적 화해나 통합으로 해결되지 않는다. 이 갈등이 폭력이 된느 이유는 동일성의 논리 떄문이거나 외양만이 봉합된 긍정성의 세계 속으로 빠지기 때문이다. 긍정성이 확대되면 부정성도 함꼐 떠오를 뿐이다. 동일성이 커져가면 타자와 나를 분리함으로써 배제의 논리가 지배한다.

눈부처는 나는 타자로 인하여 나이고 타자가 곧 나인 것을 자각하여 타자를 나처럼 끔찍이 보듬어주고 사랑하는 변동어이의 사유를 의미한다.

이도흠은 원효의 화쟁사상에 기대어 동일성의 패러다임에서 타자를 배제하고 폭력을 가하는 것을 지양하려면 대중은 눈부처 주체로 거듭나야 한다고 주장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