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을 바꾸는 책 읽기 - 세상 모든 책을 삶의 재료로 쓰는 법
정혜윤 지음 / 민음사 / 201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살인이 있습니다. 한 여자가 다른 여자를 죽여 그녀의 신분을 훔쳐 삽니다. 범죄의 뒤 풍경은 너무나 익숙합니다. 풍요로운 경제 성장을 겪으면서 커져 버린 허영심이 한 축에 있습니다. 대단한 허영심도 아닙니다. 좋은 집에 살고 싶다, 남들보다 좀 더 호화롭게 살고 싶다 같은 것들입니다. (중략)

<화차>에선 한 여자가 그렇게 물에 빠져 있습니다. 그년를 죽이는 여자 역시 돈 때문에 삶이 파괴되어 있었습니다. 그녀는 타고나 악녀가 아니었습니다. 아릅답지만 평범한 여자였습니다. 그녀는 이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혼자 힘으로 오로지 자기 자신만을 위해 살아야 살아남을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손에 피를 묻힙니다. 아름다운 범인의 파괴된 삶이 알리바이입니다. 파괴된 삶이 범죄입니다. 그것이 유일한 변론이기도 합니다. 그녀가 살인을 저지르기 전에 그녀의 삶은 이미 이 사회에 의해 파괴되었기 때문입니다.

살인 사건을 다룬 이 소설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단어는 아이러니하게도 '행복'입니다.

우리는 비슷한 욕망을 나눠 갖습니다. 비슷한 욕망 때문에 서로 경쟁합니다.

게다가 세상이 불확실하기 때문에, 문이 더 좁아졌기 때문에 점점 더 개인화됩니다. 욕망과 불안의 끈이 우리를 교묘하게, 마치 같은 먹잇감을 가지고 싸우는 동물들처럼 연결시킵니다.



또한 윤리는 타인과도 연결되도록 도와줍니다.(중략)

우리가 타인과 연결되지 못하는 것은 서툴러서가 아니라 우리가 "너는 너, 나는 나"라고 주장하는 개인주의자들이기 때문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더 나은 인간이 된다는 것을 심리의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온갖 심리학 책들이 위험을 피하는 법이나 자존심을 찾는 방법, 존중받는 방법, 콤플렉스에서 벗어나는 방법, 소통하는 방법을 가르쳐 줍니다. 그러나 다른 사람이 된다는 것, 더 나은 사람이 되고 싶다는 것, 그것이야말로 저는 윤리의 문제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중략)


아마 이런 것이 윤리가 아닐까 싶습니다. "이대로 죽어도 괜찮을까"같은 것 말입니다.

이 험한 세상을 살기 위해서는 섬세한 감수성도 필요하지만 윤리도 필요합니다. 슬퍼도 해야하는 일이 있고 좋아도 하지 않아야 할 일이 있습니다. 그런데 그것은 너무나 어렵습니다. 우리 타인이 잃고 내가 얻거나, 내가 잃고 타인이 얻는 세상에서 살기 때문입니다.

사람을 이해하고 이어주게 하는 힘

바로 책에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