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나운서처럼 매력 있게 말하기 - 아나운서의 말하는 비결을 훔쳐라
박진영 지음 / 오래 / 2010년 5월
평점 :

최근 말하기에 관심이 많아져서 스피치 강연을 찾아 듣고 있습니다.
최근 EBS에서 방영했던 스피치 관련 다큐도 인상적이었고 본 강연도 인상적이었습니다.
다음은 강연을 듣고 요약한 내용입니다.
아나운서 말하기는 결코 흉내내기가 아닙니다.
아나운서 말하기의 특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정확한 발음, 표준어, 그리고
남을 배려하는 말하기는 듣기를 의미합니다.
즉, 듣는 말에 초점을 더 두어야 잘못들어서 생기는 오해를 줄이게 됩니다.
의사소통을 할때 알아야 할 점은
내가 완벽하다고 생각하지 말아야합니다. 내가 틀릴수도 있겠구나 하는 마음자세를 가져야 합니다.
친할수록 더 자세히 객관적으로 말해야 합니다.
경청의 자세
-----------
- 몰입 가장 집중해야하는 것은 지금 만나고 있는 사람의 이야기
- 끊지 말고 참아라 끊는 것은 습관
- 내가 아닌 말하는 사람 입장에서 생각해라
상대방을 배려해주는 사람이 할수 있는 배려는 몸짓언어입니다.
하지만 의도적으로 하기는 힘들다. 몰입하면 저절로 나온다. 중요한 건 반복적이지 않은 다양한 리액션의 사용
박진영씨는 다양한 리액션들을 미리 적어두고 방송할때 골고루 썼다는 일화가 생각납니다.
- 시선을 한 곳으로 응시하라 ex) 미간를 보든지
- 여자와 대화할 때 시선이 턱 아래로 내려가면 안된다
- 남자는 도서관에서 가방을 앞에 놓는다 (시선회피)
- 여자는 도서관에서 가방을 옆에 놓는다 (거리유지)
- 상대의 이름을 불러라. 사람은 상대방에게 이름이 불려지는 것을 좋아한다
- 다른사람들이 길게 말하는 것을 싫어한다. 몰입하기 힘들다
원래 정해진 시간보다 짧게
- 아주 쉽고 편한 말을 사용해야 쉽게 표현하려는 노력이 필요
아나운서의 말하는 수준은 TV 초 4~5학년 수준의 내용 라디오는 초6학년~중학교 1학년
- 대상에 따라서 말의 수준을 바꿔야
비판의 말 사이사이에 칭찬을 넣어라
해야 할 말을 놓치는 경우! 표현에 서툰 사람들
그 때 그 때 표현해야...
좋은 몸에서 좋은 목소리가 나온다.
몸이 안좋을 때는 아나운서들은 공공장소를 가지 않는다.
자극적인 장소나 음식을 피한다
고함 지르지 말자. 속삭이지 말자.
표정으로 말한다. 거울앞에서 웃는 표정으로 연습하기
표정도 말을 한다 말은 한 마디하면 몸은 열 마디한다
우리말의 고저 장단음이 정확해야
길때는 길게 짧을 때는 짧게
잘 지켜진다면 말이 마치 노래처럼 리듬감이....
평소 발음이 안좋다는 걸 알고 있기에 더 자신감이 없어졌습니다.
여기에 박진영씨는 말씀하셨습니다.
훈련을 해야 나아진다고
힘들겠지만 그동안 지적이 많이 나왔기에 이제는 개선해야 할때가 아닌가 마음을 다져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