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펭귄들의 세상은 내가 사는 세상이다 - 세상 끝에서 경이로운 생명들을 만나 열린 나의 세계
나이라 데 그라시아 지음, 제효영 옮김 / 푸른숲 / 2023년 10월
평점 :
바위투성이 산등성이 펭귄 군집 속 몰아치는 바람.
뒤뚱거리며 돌아다니는 펭귄들,
조약돌로 지은 둥지에 알 품는 펭귄들.
티격태격 다투기도, 서로 부르기도 하며
귀 먹먹하게 들리는 이곳은 사방이 펭귄 천지인 남극.
남극 리빙스턴 섬 지난 시레프곶
이 외딴 곶에 합판으로 지은 오두막.
인터넷도 없고 수돗물도 없는 곳에서 매일 밖으로 나가 동물들을 측정하고
수를 세고, 포획하고, 풀어주고, 추적하고 기록하고 관찰을 한다.
데이터의 점 하나로 찍히기까지 현장 연구자들이 날씨와 계절 그리고
그곳에 사는 야생 동물들과 묶여 얻어낸 결과다.
인간이 살지 않고 문명이 정착하지 않은 곳의 동물이 주인인 지구 끝자락 '남극'
남극 생태 연구원의 생생한 현장 기록은 환경 문제, 과학적 탐구, 생명의 신비를
담아내고 있다.
과학자의 시선으로 바라본 자연.
생태계의 남극의 삶. 과학자의 남극의 삶.
남극을 떠나는 사람들과 들어오는 사람들.
생태계를 관찰하고 기록하며 데이터를 축적해 논문을 발표하면서
끊임없이 자신이 연구하는 생물이 이 세상에 존재해야만 하는 정당한 이유를 대며
연구하는 생물학자들.
그 현장 속, 연구자의 시선이 담긴 회고록은생생한 자연 다큐멘터리를 보듯
남극 속 생태연구원의 삶을 담아냈다.
생태계를 이해하려는 노력은 '스스로 나 자신을 이해하게 되는 과정' 이었다 말한다.
그에게 주어진 임무는 모니터링과 관찰이었고, 나는 펭귄이 조약돌을 모을 때부터
알이 태어나고, 새끼가 깨어나고, 홀로서기하고, 고요한 공기 중에 펭귄의
몸에서 우수수 떨어진 깃털이 흩날릴때까지 섬에 머무르며 번식기의 모든 과정을 관찰했다.
그 몇 달 동안 연구지는 내 세계의 전부였다. 그곳에 있을 때는 달리 갈 수 있는 곳도 없었고,
해변 너머는 내가 닿을 수 없는 곳이었다. 그래서인지 내가 있는 곳이 더 깊이 친해지려고 했다.
하지만 모든 현장 연구는 반드시 끝이 난다. 배가 오고, 모두가 배에 올랐다.
우리 중 절반은 섬과 영원히 작별했다. 361
자연을 벗 삼아 연구를 하던 이들의 삶.
자연 속에서 현장 연구에 뛰어드는 사람들에게 흔히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얼뜬 유머 감각과 자기 자신을 별로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는 성향, 강철처럼
단단한 의지, 불편함을 굉장히 잘 참는 성격, 안정적이고 확실한 자아, 창의성,
무엇보다 자기 일을 사랑한다는 점이다. 361-362
그들의 건강하고 강인함이 너무 좋았다.
시대적 상황과 변화로 현장 연구에도 변화가 일었다.
이제는 사라진 시레프곶의 낡은 오두막.
그곳의 그리움이 담긴 저자의 생생한 이야기는
'남극'은 그에게 삶의 새로운 목적을 찾게 해준 것 같다.
세상 끝에서 경이로운 생명들을 만나 열린 작가의 세계로 초대합니다.
<본 도서는 책을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후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