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그림책 읽는 나는, 특수학교 교사입니다 장애공감 2080
공진하 지음 / 한울림스페셜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통합학급 학생을 만난다. 통합학급 학생은 국어와 수학을 특수학급에 가서 배운다. 어떤 아이들은 완전통합학급 대상자로 분류되어 모든 교과를 같은 반 아이들과 함께 배우기도 한다. 그런데 가르쳐보니 난감하다. 솔직히 어렵다. 해당 학년에서 요구하는 성취기준에 도달하기 어려운 아이이기에 특수교육대상자다. 국어, 수학은 특수학급에서 배운다고 하더라도 학년이 올라가면 사회, 과학을 비롯한 다른 교과는 다른 아이들과 함께 배운다. 교사도 어렵지만, 아이는 더 어렵다. 모든 수업을 특수학생에게 맞출 수도 없고, 모든 수업을 투트랙으로 진행할 수도 없다. 박자 치기를 힘들어 하니 악기 연주는 더 어렵고, 다른 아이들은 높은 뜀틀을 뛸 때 낮은 뜀틀을 뛰니 효능감을 느끼도 어렵다. 그러다 느 날 가르쳤던 아이가 고학년이 되어 결국 특수학교로 갔다는 얘기를 듣고 '그 아이를 위해 다행인건가' 싶다가 '통합교육의 한계구나' 씁쓸함에 속이 쓰리다. 


"우리가 보는 모든 것은 진실이 아니라 관점이다"라는 말이 있다. 전담교사로 만난 학생, 옆 반 교사로 어쩌다 한두 시간 수업하는 학생, 학교 주무를 맡으면서 만나는 특수교사, 특수교육대상자의 부모를 통해 은연중 형성된 관점으로 교육은 만인에게 평등하다는 진실, 특수교육대상자도 충분한 교육을 받아야 한다는 진실을 제대로 보고있지 못했다.  


어느 날 특수교사로부터 특수학생에 대한 강의를 듣고, 어떻게 환경을 만들어줘야 하는지 배우며 시각을 넓히긴 했지만, 여전히 부족하다. 매번 만나는 것이 아니다보니 막상 만나면 온갖 시행착오도 겪을 것이다. 이 책을 읽으며 내가 가진 관점의 위험성과 나의 한계를 다시 한 번 깨닫게 되었다. 안목을 키울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시의 세계사 - 비판적 사고력을 키우는, 살기 좋고 지구에도 좋은 도시는 어떤 모습일까? 비판적 사고력 시리즈
메건 클렌대넌 지음, 수하루 오가와 그림, 최영민 옮김 / 아름다운사람들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에드가 모랭은 "도시의 공유성은 그 안에서의 삶이 지니는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특성의 총체로 간주되어야 한다. 도시는 상호작용 뿐만 아니라 반작용, 역작용의 총체다. 마찬가지로 각 개인이 사회 안에 존재할 뿐 아니라, 사회가 개인 안에 존재한다. 우리가 도시 안에 존재할 뿐 아니라, 도시 또한 우리 안에 있다."고 했다. 


 내가 갖고 태어난 유전자는 복잡하고 오래 걸리는 것을 견디기 힘들어한다. 서울에 한 번씩 올라갈때마다 '문화 시설은 좋겠지만, 답답해서 못살겠다'고 생각한다. 기차나 지하철을 이용할 땐 그나마 다닐만한데, 자차를 운전해서 올라가면 여전히 내겐 살기에 좋은 곳이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그럼에도 직업이 교사라서 학교 통폐합 -> 마을 소멸 -> 도시 집중의 문제에 대해 관심을 가질 수 밖에 없고, 계속 떨어지는 출산율을 일개 개인이 어찌할 수는 없지만 이 책의 부제 '살기 좋고 지구에도 좋은 도시는 어떤 모습일까?'에 기대어 '인간을 위한 도시를 어떻게 정의하고 대비하게 했을까?' 궁금함이 생겼다.


도시를 건물, 도로, 차량 등으로 생각한다면 사람을 빼놓았기 때문에 현재 일어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을 것이다. 이 책은 다행히 모든 곳에 사람을 중심에 놓고, 이야기를 풀어간다. 수천년전의 도시에서 사람들이 어떻게 살았는지부터 오늘날은 어떻게 살고 있는지를 이야기한다. 그리고 미래엔 이런 것이 필요하다며, 세계 곳곳에서 이미 다가온 미래를 어떻게 준비하고 해결하고 있는지 소개했다. 다. 미래 도시의 모습에 대한 정보를 찾고, 이 지식을 바탕으로 미래를 대비하는 마음을 갖기에 충분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음이란 무엇일까? 나를 키우는 질문 1
호소카와 텐텐 지음, 황진희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음이란 무엇인지 친절하게 설명하기 시작해서 기분의 다양한 종류를 알려주고, 기쁜 기분도 슬픈 기분도 모두 소중하고 꼭 필요하다고 알려준다. 아이들은 기쁘고, 즐겁고, 행복한 것만 좋은 것이라고 이해하기 쉬운데, 어렵고, 힘들고, 아픈 것들이 있어야 이겨낼 수 있는 힘이 생긴다. 울어야 풀리는 것이 있고, 화를 낼 때 낼 줄 알아야 건강하게 자랄 수 있다. 


작가는 '기억 서랍'이 있고, 언제든 열어서 그 안에 든 기억을 꺼내 볼 수 있다고 말한다. 중요한 것은 생각이다. 어떤 일을 겪었을 때 아무 생각이 없으면 기억 서랍에 들어갈리 없다. 이게 좋은 감정인지 뿌듯한 감정인지, 원망인지 애통함인지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 그게 뒤죽박죽 섞이면 서랍은 서랍의 기능을 하지 못한다. 그렇다면 분류를 어떻게 할 수 있는지 알아야 하는데, 어떤 감정이 있는지만 알려줄 게 아니라 이럴 땐 보통 이렇게 느낀다는 예시를 들어주면 더 좋았겠다. 이 책은 딱 그 전까지만 말해준다. 그게 아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민을 들어줘 닥터 별냥 3 고민을 들어줘 닥터 별냥 3
이지음 지음, 문채빈 그림 / 꿈터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멋진 활약을 하고 싶은 지호, 완벽을 먼저 생각하느라 아무 것도 하지 못하는 윤아, 그리고 닥터별냥이 되기 전 아기 고양이였던 시절의 이야기가 담겼다. 


고양이건 어린이건 고민은 있다. 그 고민은 누구나 가질만하고, 해결하기 쉽지 않기도 하다. 다행히 닥터별냥이 “말 잘 듣는 착한 고양이가 되면 버림받지 않고 사랑 받을 수 있을까요?” 라고 먼저 고민해봤다. 말썽 부려 버려졌지만, 사랑으로 보살펴준 인간으로 인해 세상에 믿음을 갖게 되어 초능력 고양이로 변신했기에 아이들의 마음을 누구보다 잘 안다. 


“멋진 히어로처럼 활약하고 싶은데 마음대로 되지 않아요.” 라는 지호의 고민. 누구나 주목 받고 싶어한다. 그게 얼마나 밖으로 표출되느냐의 문제인데, 해결 방법은 의외로 단순하다. 새로운 힘이 담긴 아이템으로 승부가 아니라 즐길 줄 아는 마음을 갖게 된 것. 히어로도 다 제각각이다. 꼭 누구를 구하고, 승리로 이끄는 히어로만 있어선 세상이 돌아가지 않을 거다. 


별냥이가 된 과정에 대한 이야기만으로도 3권을 읽을 가치가 충분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때, 나무 속에서는 생각곰곰 14
김성은 지음, 이승원 그림, 우수영 감수 / 책읽는곰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식 정보 그림책에 짧막한 이야기를 입혔다. 두바이로 떠난 아버지로부터 받은 엽서에 적힌 '나무가 뾰족뾰족 초록 부리로 햇빛을 쪼아 먹을 때 돌아갈게.'란 수수께끼를 해결하기 위해 나무를 관찰하면서 나무 속과 나무 아래를 번갈아가며 살펴보게 한다.


아이들은 초등학교 2학년일 때 단풍의 의미와 단풍이 드는 이유를 배웠다. 날씨가 추워지면 겨울을 얼지 않고 나기 위해 잎을 떨어뜨려야 하고, 녹색색소를 더 이상 안 만들게되면서 빨강, 노랑, 주황 등의 색소가 드러나게 된다고 말이다. 이 책에선 한 발 더 나아가 질소, 인산 칼륨이란 영양소가 만들어진다는 것, 잎으로 더 이상 물과 양분이 가지 않도록 떨켜가 만들어진다는 것 등을 배울 수 있다. 또한 동식물의 겨울나기도 함께 다루고 책 맨 뒷부분에 겨울눈, 로제트 식물, 씨, 푸른 잎 등으로 겨울을 나는 예를 실어서 친숙함도 느낄 수 있게 해준다. 잎이 모두 떨어지고 난 뒤 나뭇가지에 앉은 텃새가 무슨 새일까 찾아보는 재미도 있다.


2학년 과정에서 배우는 내용을 단순 정보전달이 아니라 이야기를 입혀서 이입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아빠를 기다리는 아이가 마냥 힘든 시기를 보내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연도 날리고, 눈사람도 만들며 행복한 삶을 살아내고 있는 과정을 그린 것도 편안함을 느끼게 해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