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톨른 차일드
키스 도나휴 지음, 공경희 옮김 / 작가정신 / 2009년 9월
평점 :
절판


  '파에리'들은 불행한 유년을 보내고 있는 소년을 찾아내어 면밀히 관찰한다. 소년에 대해 웬만한 건 다 알고 있다고 판단되었을 때 그 무리의 '우두머리'라 할 수 있는 아이는 숲에서 나와 소년의 자리를 차지한다. 그렇다면 '바꿔친 아이(스톨른 차일드)'는? '파에리'에게 끌려가 숲 속에서 새로운 생활을 시작해야만 한다.



  그렇게 '헨리 데이'가 된 파에리가 있고 '헨리 데이'에서 이름을 점차 잊고 '애니데이'가 된 소년이 있다. 새로운 '헨리 데이'는 백여 년 만에 얻게 된 인간의 삶을 마음껏 누리기로 하고, '애니데이'는 점차 자신의 이름도, 부모님도, 쌍둥이 여동생도 잊고 '애니데이'가 되어간다.



  바꿔치기라는 소재는 다양한 문화권에서 전승되어온다. 이 <스톨른 차일드>에서 차용된 것은 서구권의 설화 '체인즐링'일 것이고(실제로 예이츠의 시 [스톨른 차일드]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 하필 '아이'가 바꿔치기 당한다는 것은 '파에리'들이 갓난아기는 갓난아기인 채 너무 돌보기가 힘들고 조금 더 자란 아이는 자신의 정체성이 더 확고해지기에 그 자리를 비집고 들어가 대신하기가 힘들어지기 때문이라는 이유에서라고. 숲 속에 있는 보이지 않는 존재라거나 요정이라거나, 이러한 이유 등등이 꽤나 낯설게 느껴지지만 않는 것은 역시 세부적인 설정만이 다를 뿐 우리 역시 '바꿔치기'를 잘 알고 있기 때문일테다. [옹고집전]의 옹고집이라거나, 밤에는 손발톱을 깎지 않는 이유라거나…….



  어느샌가 '애니데이'가 익숙해진, 소년에 머물로 있는 소년과 스톨른 차일드의 자리를 대신해 들어가 '시간의 흐름에 맞게 성장하는 모습으로 몸을 변화시켜야 하는' 파에리 헨리 데이의 시점이 교차되어 진행되는 이야기는 도중도중 큰 사건을 하나씩 맞이해나가며 성장하는 이야기가 담담하게 흘러가고 있다.




  '가장 먼저 잃어버린 것은 자신의 이름'인 애니데이. '의식'을 거친 후 애니데이는 숲 속의 파에리들 중 가장 낮은 서열로서 집단의 일원이 된다. 무언가를 잊은 것 같지만 그것이 무엇인지 모르겠다는 애니데이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억 속 파편을 무의식 속에 담아두고 있다. (그리고 아마 숲 속의 모든 파에리들이 그랬을 것이다.) 송두리째 자신의 인생을 도둑맞았다는 기억조차 희미해짐에도 불구하고 애니데이는 도서관에서 책을 읽고 또 빈 종이에 자신의 이야기를 적어나가는 것에 큰 기쁨을 느끼고 있다.


  한편 헨리 데이의 인생을 훔쳐와 그의 삶을 살게 된 '헨리 데이'는 자신의 정체성에 혼란을 느끼기 시작한다. 음악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자신의 감성이 즐거움에서 점차 낯선 무언가로 변해가고, '헨리 데이'의 인생을 훔치기 전 '스톨른 차일드'가 되었던 자신의 진짜 유년 시절에 대한 향수 혹은 궁금증이 자신의 정체성을 지탱해 줄 뿌리가 되어줄 것이라는 생각에 이르게 된다. 그리고 거기서 음악에 대한 재능이 있을 수 밖에 없었던 금발의 소년의 모습을 찾아내고, 또 '진짜' 헨리 데이와 마주친다. 자신의 인생의 진짜 주인을.




  애니데이는 나이가 든 헨리 데이를 보며 무슨 생각을 했을까? 자신의 인생을 훔쳐간 이에 대한 분노? 자신의 인생을 대신 살면서도 그것이 행복해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한 배신감? 그러나 오랜 세월이 흐른 동안 둘 사이의 의사를 주고받을 수 있는 매개체는 없었고, 아마 그게 전부였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헨리 데이는 음악을 통해 애니데이에게 화해의 손길을 내민다.




  영화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속 치히로가 건너간 낯선 세계에서 가장 소중히 지켜야 하는 것은 바로 '치히로'라는 이름이다. 유바바는 치히로의 이름을 빼앗고 '센'이라는 이름을 남겨뒀고, '하쿠' 역시 고귀한 강의 이름을 빼앗고 남겨둔 이름이다. 잃어버린 이름에 얽매여 원래 자신의 세계로 돌아가지 못하는 하쿠, 그리고 인생을 도둑맞아 자신의 이름부터 서서히 잃어버리는 '헨리 데이' 아니 '애니데이'를 구원해준 것은 치히로 그리고 '예술'이다.


  서 자신을 쉴새없이 표현했던 애니데이와 그럼에도 이해하지 못해 '음악'이라는 매개를 통해 화해를 하고자 했던 헨리 데이를 지탱해 준 것이다. '기억이 잃어버리는 것은 상상력이 다시 만들어(p.414)'낸다. '이미 모든 게 완성됐고, 모든 대답이 알려져 있는데(p.354)'도 불구하고, 예술가는 새로운 것을 세상에 내놓는다. 애니데이가, 헨리 데이가, 미야자키 하야오가, 키스 도나휴가, 그리고 세상의 모든 이야기꾼들이.




그들은 사악한 존재일 수도 있었다. 모든 아이의 빛나는 눈 뒤에는 감추어진 우주가 있으니까._p.349



책을 쓰는 사람은 반드시 읽을 사람을 염두에 둔다고 알고 있어. 자기 혼자 보려고 시간과 노력을 쏟는 사람은 없다고. 일기를 쓸 때도 누군가 펼쳐보리란 걸 알잖아._p.354



가끔 예술가가 왜 새로운 것을 세상에 내놓는지 궁금해. 이미 모든 게 완성됐고, 모든 대답이 알려져 있는데 말이지._p.354



기억이 잃어버리는 것은 상상력이 다시 만들어내지._p.414




_20150109~2015011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