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기 신간평가단 활동 안내
<에세이> 파트의 주목 신간을 본 페이퍼에 먼 댓글로 달아주세요.

  서른 살의 집(노석미) 

P.123-124 : “너는 왜 일을 하지 않지? 일자리가 없어서 그런 거니? 내가 공장 소개해줄까?” 평소에 늘 집에 있는 나를 노는 사람으로 보았던 모양이었다. 그래서 나는 어이없어하면서 자신만만하게 대답했다. “나는 그림을 그리잖아.” 그랬더니 그가 이상하게 여기면서 말했다. “그림을 그리는 건 직업이 아니잖아.” 갑자기 할 말이 없었다. 어찌 보면 만의 말이 맞기도 한 것 같았다. 나는 ‘공장에 다녀야 할까?’라는 생각을 잠깐이지만 정말 했다. 그렇다면, 이왕이면 봉제공장의 미싱사면 좋겠다고 말이다. 
-123∼124쪽 「소목장과 공장」에서 


 

제목을 딱 보는 순간 35평대 아파트와 강남 오피스텔을 떠올린 나는 어찌나 현실적으로 한국사회의 기준에 찌든 스물 두 살인지. 

여기, 서른살의 여자가 있다. 학생도 직장인도 중년도 고달파 고달파 하지만 한국사회에서 '서른 즈음의 여자'만큼 시선에 고달픈 이가 또 있을까. 그 나이의 여자에게 응당 사회가 기대하는 것들을 뿌리치고 오로지 아티스트로서의 삶을 위해 서울을 떠나 변두리로 향한 서른살 여자 아니 아티스트의 치열한 삶을 엿볼 수 있을 것 같다. 


 

세상과 타협하지 않고 자기만의 행복을 위해 달려온 서른 살 아티스트의 집은 어떤 모습일까? 

 

 

 

 

 

홍차와 바나나 


 

그래도 희망이 있다는 것. 더 이상 뒤로 물러설 곳이 없을 것 같은 그곳에 바로 희망이 있었다.


 

홍차와 바나나. 전쟁. 성폭행. 빈곤

전혀 어울리지 않는 단어들이 하나의 책으로 엮였다. 표지에 해맑은 아이들의 미소를 보고있자면 마치 아프리카의 소박하고 욕심없는 삶을 엿볼 수 있는 여행에세이 같지만, 어쩌면 달콤한 티타임을 연상케 하는 제목과는 달리 불편하고 언짢은 이야기를 마주하게 될 지도 모르겠다. "이런 걸 안다 해도 우리가 어떻게 할 수 없잖아?"라고 말하는 이들도 있다. 하지만 우리는 적어도 '알아야 한다.' 그래도 희망이 있다는 것을. 그러니 지금 우리가 어떻게 할 수 없더라도 포기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을. 

 

 

 

   

너를 사랑하는 데 남은 시간

 

아가야, 천국에서도 너를 사랑해!

이미 성년이 되었지만 성인이라는 말이 무색하게도 여전히 엄마가 필요하고 엄마의 존재가 그 무엇보다도 위로가 된다. 아무리 나이를 먹어도 엄마가 필요치 않은 순간은 오지 않는다. 엄마란 그런 존재인 것이다. 암 투병으로 시한부 선고를 받은 저자는 딸을 사랑하는 데 남은 시간을 하루하루 헤아려가며 절실한 마음으로 이 책을 썼을 것이다. 아이가 한살 한 살 자라면서 엄마의 위로가, 사랑이 필요할 때 느끼게 될 빈 자리를 어떻게든 채워주고 픈 간절한 바람을 담아서. 그 마음이 담긴 한 구절 한 구절이 독자들을 울게 할 것 같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알라딘신간평가단 2011-10-11 18: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체크 완료했습니다! 첫 미션 수행 고생 많으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