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 8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철학으로 영화보기 영화로 철학하기
김영민 지음 / 철학과현실사 / 1994년 8월
평점 :
품절


나는 이 책을 강준만의 저서에서 소개 한것을 보고 찾아 읽게 되었다. 강준만교수가 말하기를 눈물이 쏙 빠지게 재밌다는 것이다. 국내의 영화 몇편과 미국영화 몇편을 저자의 철학적인 관점으로 비평하고 있다. 그 철학이란 복합성의 철학과 깊이의 철학이다.

소제목은 몇개 소개해보면.
1,외투깃을 따로 세워도 왜 우리는 하나인가'-미션
1-4'우리가 잊고 있었던 것들'-깨어남
2-1하얀색은 모든 색이 어울린 것이다'-하얀전쟁
2-3'인문학적 감수성과 우리 영화'-닐 조던의 기적

소재목을 보면 저자의 복합성의 철학이란게 뭔지 얼추 감이 잡힐 것이다. 우리 시대의 천박성과 폭력성은 바로 다양성과 인간이해의 복합성의 부족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저자는 인간의 복합성을 이해하자'고 말한다.이 세상뿐 아니라 한 개인의 특유의 삶과 개성을 인정하지 않고 이해하려 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언제까지나 천박성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타의 다양성과 깊이를 인정하는 사회가 될때 우리는 비로소 문화 선진국이 되는 것이다.

내가 이 책을 보면서 가장 감동적이 었던 것은 영화 깨어남의 주제였다.'뇌염 후유증 증후군'이라는 병을 앓고 준식물인간의 상태에서 몇십년을 살던 중 어느날 갑자기 의식을 회복한 인물의 실화를 바탕으로 만든 영화이다. 이 환자는 주의에 어떤 자극도 반응하지 못한다. 다른 의사들도 그것에 대해서 의의를 제기하지 않는다. 그러나 환자의 어머니와 세이어 박사(로빈윌리암스라고 한다)만은 환자가 육체적으로만 반응하지 못할 뿐이지 의식은 살아서 반응하고 있다고 믿는다. 그러나 주의의 사람들은 식물인간일 뿐이라고 그들의 말에 냉소를 보낸다.

결국 이 환자는 깨어나고 세이어의 말이 맞았음이 입증된다. 주위의 의사들은 곧 '관습적 폐쇄성'에 갇혀 자기만의 세계만 알고 다른 세계를 인정하지 않고 사는 우리들의 모습인 것이다. 우리들의 인격과 교양지식을 높여줄 책으로 손색이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따로와 끼리 - 남성 지배문화 벗기기 책세상문고 우리시대 38
정유성 지음 / 책세상 / 2001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무엇보다 이책은 지식인들이 아니라 일반 사람들이 읽기를 권한다. 그것도 일상 속에서 인간관계에 의한 스트레스-학교에서의 선후배 관계, 회사에서의 상사와의 관계, 아내와 남편의 관계에서 -를 겪고, 어긋난 관계속에서 사는 사람들이 읽어야 할 책이다. 우리는 일상 생활속에서 잚못된 근현대사에서 ,또는 개개인의 이기와 아집에서 비롯된 어긋난 인간관계에서 괴로움을 숱하게 겪으며 살고 있다. 그러나 이게 원래 그런 건가 보다 하는 폭력에 둔감한 상태로 살고 있는 것또한 사실이다.

한국사회에서는 어디서나 패거리 문화를 볼 수 있다.그런데 그 패거리란게 의미있는 패거리가 아니라 거의 이기주의적 동기에 의해 피상적으로 뭉쳐진 패거리 곧 허구적 패거리다.또한 이러한 비뚤어진 패거리 문화에서 갖가지 폭력이 양산된다. 이런 잘못된 남성주의 문화를 사회 곳곳에서 겪으며 살고 있고 이는 분명 악몽이다.

이 책은 일반인들이 느끼지 못한 '일상적 폭력'을 이것은 폭력이다'라고 느끼게 해줄것이다.둔감한 자의식을 자극시키는 교양서로서 아주 적절하다고 생각한다. 이 책의 미덕은 무엇보다 우리의 감추어진 진정한 인성의 소리를 듣게 해준다. 우리는 일상과 사회속에서 갖가지 폭력을 겪는다,그러나 우리의 마음속에서는 이거는 아닌것 같은데,,,,,,하면서도 원래 사회가 그런건가 보다 하면서 오히려 나의 천성을 탓하며 사회에 동화된다. 그게 철이 드는 거라는 믿음을 가지면서,,,그래서 결국 남성 지배문화는 끊임없이 재생산된다. 그러나 이 책은 나의 진정한 본성이 옳은 것이라고 말해준다.

이 책으로 자극받은 감수성은 알게 모르게 나를 더욱 더 균형있고 평등하고 , 조화로운 인격으로 만들것이다. 남성뿐 아니라 여성 모두의 일독을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 8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