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망각의 동물이다. 영화를 본 지 일주일도 채 지나지 않은 나는 벌써 잊어가고 있었다. 그날의 감동과 그날의 다짐을...나조차 이러한데 수십년을 시간을 뛰어넘은 시간을 전쟁 피해자로 살아온 위안부 할머니들의 고통과 호소는 이 시대를 사는 사람에게는 단지,,먼 옛날의 이야기이며, 단순한 역사의 기록으로밖에 기억되지 않을런지 모른다. 그것도 제도권 교육에서는 단지 몇줄에 지나지 않으리라...안타깝다. 

영화는 일본을 상대로 재판을 하겠다는 <송신도> 할머니의 의사에 따라 재판은 물론 재판 지원 같은 것을 해 본 적도 없는 시민들이 모인<재일 위안부 재판을 지원하는 모임>이 지난 10여년을 촬영하고 기록한 다큐 영화이다. 피해 당사자인 송신도 할머니의 의견을 존중하며, "바보 같은 전쟁은 두 번 다시 하지 마라"는 할머니의 외침은 할머니와 같은 피해자 위안부들 등 희생자들의 아픔에 대한 단순한  외침이 아니었다. 이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국적을 떠나 일본,중국,한국 등에서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그리고 미래를 살아갈 인간들을 위한 평화의 호소문이었다.  

할머니는 강연 때마다 절절한 목소리로 힘 있는 목소리로 전쟁에 대한 반대의 입장을 명확히 전달한다. <재일 위안부 재판을 지원하는 모임>의 시민들은 어찌보면 할머니의 거침없는 입담과 괄괄한 성격이 사람들의 시선을 먼저 끌었는지도 모른다. 그러나,,한번 두번 계속되는 할머니와의 만남을 통해 지속적으로 그들이 함께 할 수 있었던 이유는 점차 세상과 소통하면서 할머니의 표정이 밝고 긍정적으로 변해가는 모습에서인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을 했다. 영화 초반의 할머니의 얼굴과 후반부의 할머니의 얼굴은 많은 차이가 느껴졌다. 결국 "재판에서는 졌지만,,그래도 내 마음은 지지 않아" 라며 할머니는 사람들이 만든 법 앞에서는 졌을지 모르나, 그들의 양심의 법에서는 이겼음을 나는 안다.   

영화를 보는 내내 그분의 원하지 않은 인생에 대한 책임은 과연 누가 져야하는지? 또 일본에서 그 긴 시간을 사시면서(그곳에서 가족 한분 없이 사시는데),,그곳에서 생을 마감하시게 되면,,어디에 묻히고 싶을실런지에 대한 생각을 하게 되었다. 이름뿐인 조국에서 그래도 묻히고 싶으실까? 아님,,,국가를 떠나 산 그곳 일본에서 일본 시민이 응원해준 친구가 되어준 그곳에서...??  흐르는 눈물을 나 스스로 주체할 수 없었던 것은 다만 나 뿐만이 아니었다...ㅠㅠ

영화 후에 안해룡감독과 윤정모 작가님과의 대화는 더욱 뜻 깊고, 기분 좋은 대화의 시간이었다. 감독께서 영화를 수년간에 찍으시면서 정리해 오신 역사에 대한 생각과 기존의 위안부를 보는 시각과는 차이를 두신 이번 송신도 할머니를 통해 느끼신 부분들에 대한 설명을 들으면서 더욱 공감하게 되었다...일본 시민들의 모금으로, 또 그들의 손으로 만들어진 이 영화에 격려와 힘찬 응원을 보내본다. 요즘 워낭소리가 잔잔히 강팍해진 사람들에 가슴을 파고 있듯이,,이 영화 또한 무거운 주제이지만, 그 주제를 주인공 송신도 할머니의 호통과 때로는 위트로 우리들의 가슴 속에 깊은 울림을 주리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나도 작지만 그 뜻에 동참하리라 다짐해 보게 한다. 좋은 영화 만들어 주신 분들의 노고에 격려의 박수를 보냅니다..짝..짝..짝!!!! 

시사회에 함께 참여하신 윤정모 작가님의 <봉선화 필 무렵>도 구입해 읽어 보아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