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가 정신과 리더쉽> 

⑴기업가란? 

⑵어떤 사람이 기업가가 되는가? 

⑶ 어떤 동기로 그들이 기업가가 되는가? 

⑷성공한 이들의 특징&공통점은? 

⑸ 기업가 정신과 리더쉽의 상관관계

 13일 저는 고대하던 안철수 교수님의 강연에 당첨되어 기쁜 맘으로 여의도에 갔습니다. 

강연의 주제는 <기업가 정신과 리더쉽>이었고, 회장에는 회사원들의 주를 이루었습니다. 

7시 30분에 안철수 교수님이 시작되었습니다. 

프리젠테이션을 이용한 강의 형식의 강연이었습니다.  

안철수 교수님은 지지 않도록 강연에 온 사람들의 의견을 물어보았고,  

책이나 여러 사례를 이야기 해주셔서 강연이 제게 더욱 와닿았습니다. 

기업가 정신에 대해 여러 사전을 찾아서 알아보고 주위 분들에게 조언을 구했다던 안철수 교수님의 강연은 훌륭했습니다. 

강연은 위의 5개 순서로 진행되었습니다.  

⑴기업가란?  

Entrepreneur는 기업가라는 다의어를 포함하고 있는 한글로 번역되어 그 의미가 와전되었습니다. 

기업가 정신의 기업가는 한자로는 起業家, 영어는 Entrepreneur 입니다. 

기업가란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데 신념과 믿음을 가지고 자기스스로 행동 판단하며 결과에 

책임을 지는 사람입니다.  

Entreprenewship이란? 

리더의 마음을 갖고 있는 것만이 아니라 그 정신이 행동으로 발휘 될 경우를 말하는 것입니다.

⑵누가 기업가(리더)가 되는가? 

일반적이 통념에서는 risk taker, 성공적인 전략을 가지고 치밀하게 진행하는 이, 빨리 성공하고 싶은이를 

기업가라고 생각하는 이가 많습니다.

그러나, 기업가는  

-Risk manager or calculated risk taker 이고

-Opportunistic 

-adaptive  

(첫번째 계획대로 수행하고 진행되는 것은 대기업에서나 가능한 일입니다.

바뀌는 상황에서 계획또한 바꿔 나가면서 진행하고 바뀐 상황에서도 적응력이 강한 사람이 리더가 됩니다.)
  

-끈질김   

(마시멜로 이야기처럼 성공은 시간이 오래 걸리는 일입니다. 

끈질기게 노력하고 인내를 가진이가 리더가 됩니다. ) 

을 갖춘 이가  진정한 기업가 입니다. 

⑶ 어떤 동기로 기업가가 되는가? 

인구의 40%가 창업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유명한 기업가들은 모두 내성적입니다. 

친구가 많다고 사업에 성공한다는 것은 잘못된 사실입니다. 

35~44세의 창업자가 많다는 결과를 보아 창업이란 젊은이만 하는 것이 아닙니다. 

현재 성공한 창업에서는 하이테크 창업보다도 다양한 창업군이 많습니다. 

모든 사람들이 성격도 다르고, 기술도 다릅니다. 

그들의 다양함으로 사업 성공을 이루는 것입니다. 

성공한 창업인들은 자신의 좋아하는 일을 독립시킨 것입니다. 

전망은 덧없습니다. 

많은 이들이 하는 것이 안전하다는 것은 착각입니다. 

자기 나름의 성공의 정의를 내리고 자신의 판단 기준을 가져야 합니다.  

성공은 목적지가 아닙니다. 성공은 여행입니다.  

목적을 이룬 시간 보다도 그 과정이 인생의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그러므로 과정을 사랑하지 않으면 목적 또한 즐겁지 않습니다. 

⑷성공한 이들의 특징&공통점은? (성공에 필요한 요소?) 

Talent  

재능은 크기가 다른 것이 아니라 각자 다른것입니다. 

Warren buffett은 약점을 고치지 않고 자신의 성격에 맞는 투자 방법을 찾아 대부호가 되었습니다.

② Efforts 

Strength = Talent * Efforts 

ex)1000 hours rules 에서 비틀즈나 빌게이츠는 1000시간 이상의 노력을 하여 전문성을 가졌다.

Opportunities  

-We cannot control everything. 

-We should be ready when the opportunity comes. 

(기회가 다가오더라도 내가 전문성을 가지고 있지 않고, 열심히 노력하지 않는다면 내것이 아닙니다.) 

-Don't personalize success. 

영웅은 사회가 있기에 있는 것입니다. 

성공 또한 개인의 것이 아니고, 사회로 인하여 있는 것입니다. 

사회에서 주는 기회를 자신 만의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잘못된 생각입니다.

Entrepreneurial mindset

-Capable of understanding and targeting opportunities.

기회를 보는 눈이 있어야 합니다.(그를 위해서는 전문성을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Comfortable with uncertainty 

-Adaptable 

-Persistent 

-Readership

⑸기업가정신-리더쉽 

21세기 keyword = anti-authoritarianism(탈권위주의) 입니다. 

21세기 인터넷은 대중의 지식으로 돌아가고 있습니다. 

Power는 지위가 주는 것이 아니라 대중이 가지고 있고 그들이 주는 것입니다. 

탈권위주의 사회에서 Leader는 이 3가지를 반드시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Character (리더에 맞는 성격,철학,가치관으로 무장하여야 합니다) 

-Vision(비전을 가지고 추진하는 능력) 

-실행능력 

* Executional Ability

-Knowing himself/herself - Consistency

자신의 판단기준과 원칙으로 행동하고 자신을 잘아는 사람이 일관성있게 행동합니다. 

-Level 5 leaders ambition is first and foremost for the institution, not the themselves 

-Trust

Trusting others first, keeping promises.  

-Expertise 

-communication 

-Delegation of power 

-Setting an example 

"A leader is an actor on the stage" 

-Praise in public, scolding in private 

 

강연을 듣고서 리더쉽과 기업가 정신은 기업가에게만 필요한 덕목이라기 보다도 

모든 사람들에게 필요한 덕목이라고 생각했습니다. 

특히 모든 성공이 자신의 것이라고 생각하는 기업가들, 노력하지 않고서 성공하고 싶다는 이들에게 이 강연을 

추천하고 싶습니다. 

제가 이 강연에서 가장 감명 깊었던 문구 Success is a journey, not a dstination 를 가슴깊이 새겼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