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물에게도 권리가 필요하다고요? - 동물권 ㅣ 교실 속 작은 사회 3
전채은 지음, 한호진 그림 / 어크로스주니어 / 2025년 9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대부분이 아이들이 좋아하는 것이 동물이라 동물을 시작으로 사회, 과학으로 뻗어 나가기 좋은 주제인 것 같아요. 오늘 아이들에게 읽혔던 책은 <동물에게도 권리가 필요하다고요?>입니다. 전문 동물보호단체 동물행동 대표인 전채은 작가님이 활동가로 일하면서 느꼈던 이야기를 담아 학생들에게 알려주는책입니다. 동물과 사람은 밀접한 관계에 있으며 동물도 살만한 세상은 사람도 살만한 세상이라는 점은 저도 매우 동감합니다.

귀엽고 무해한 동물들을 사랑하게 되면 가족으로 데리고 와서 곁에 두고 싶은 것이 당연한 마음일 겁니다. 하지만 동물을 어디서 데리고 와야 하는지 사람들은 잘 모르고 저 또한 애견숍에서 입양하는 것이 당연하다 생각하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이 책의 첫 장에는 반려동물인 강아지와 고양이를 주제로 이야기가 시작됩니다. 반려동물을 어디서 데려와야 하는지, 길고양이를 주워 데리고 와서 키워도 되는지, 그리고 특수동물을 키우고 싶은 데에 대한 흔한 고민들을 이야기해 주면서 생각할 거리를 던져줍니다.

또한 반려동물뿐만 아니라 요즘 멸종 위기 동물에 처해져가고 있는 야생동물 이야기도 다루면서 로드킬 이야기와 야생동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우리가 해야 할 수 있는 일등에 대해 설명해 주고 있어서 지금 당장 실천을 못하더라도 올바른 가치관을 가지고 있다면 훗날 올바른 생각으로 환경과 동물을 대하게 되리라 믿어요.

그리고 동물권하면 흔히 나오는 동물원과 실험동물에 관한 이야기도 다루고 있는데요. 저는 동물원은 주로 동물을 가두어 기른다는 생각에 안 좋은 시각에서만 보다가 동물원에서 오히려 보호를 받고 관리를 하는 종도 있고 다시 자연으로 돌려보내는 준비를 하는 곳도 동물원이라는 사실도 이 책을 보고 알았네요. 우리나라도 점점 체험형 동물원이 사라지는 추세라 반갑긴 합니다. 동물을 단순히 놀잇감이나 유희로 활용하기보다 보호와 보존의 개념으로 다가가는 동물원은 환영일 것 같네요.

난각번호와 동물실험마크인 토끼마크에 관한 이야기도 있어서 읽어보면 좋을것 같아요.

마지막으로 '애니멀호더'라고 들어보셨나요? 동물을 대놓고 학대하는 것도 학대이지만, 저장 강박증을 가진 사람이 키울 환경도 되지 않으면서 중성화수술도 시키지 않은채 무작정 여러마리를 기르는 사람들을 말을 하는데 이것도 학대라는 사실과 동물 폭행범은 사람 폭행으로도 이어지는 경우가 대다수라 주의가 필요하고 새로운 형태의 동물학대인것 같네요. 이렇듯 우리가 살면서 동물원에 놀러가거나 계란을 사거나 화장품을 구입하는 등 일상 속 고민을 이야기로 담아 생각할거리를 주면서 올바른 가치관을 잡을 수 있게 도와주는 책이랍니다. 동물과 공존하고 평화로운 세상을 꿈꾸는 이들에게 추천하는 책입니다.